국립축산과학원 조수현 박사팀이 3년간 걸쳐 밝혀내
국립축산과학원은 9일 “쇠고기 맛을 결정하는 물질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한우고기가 주요 수입 3개국의 수입산 소고기보다 단맛과 감칠맛을 주는 성분이 많은 반면 신맛과 쓴맛을 내는 성분은 적다는 사실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 조수현 박사팀은 한우 거세우 1등급 고기와 수입산 쇠고기(앵거스 품종)의 등심과 우둔 부위 스테이크를 180도 오븐에서 가열한 다음 맛 관련 물질 함량을 비교했다. 그 결과 한우고기에는 단맛을 내는 ‘글루코스’ 함량이 평균 13~15μ㏖로 수입산 5~8μ㏖ 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또 핵산 분해 물질 가운데 감칠맛과 관련이 있는 ‘구아노신일인산염’, ‘이노신일인산염’ 함량은 한우고기가 수입산 쇠고기보다 부위와 가열온도에 따라 4~10배나 많았다.
반면 쓴맛을 내는 ‘하이포크산틴’ 함량은 수입산이 한우고기보다 2배 높고 신맛을 내는 ‘락테이트’ 함량도 온도에 관계없이 높았다.
조 박사팀은 2012년부터 3년여 간에 걸쳐 ‘한우고기 식감 향상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대상도 한우는 지방함량이 비교적 적은 거세우 1등급 고기로 하고 수입 쇠고기는 한우와 동급의 냉장육을 대상으로 했다. 또 앵거스 품종 중에서도 도축하기 전 100일 동안 곡류를 먹여 마블링이 충분히 형성된 개체를 실험했다.
조수현 박사는 “지금까지 한우가 지방산인 올레인산이 풍부해 수입 소고기에 비해 맛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한우고기의 풍미가 좋은 이유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며 “한우의 맛 차별성을 알리는 좋은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