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해 5월 전남 지역에서 2g 내외의 어린 새꼬막 6t을 들여와 화성시 제부도 갯벌에서 1년간 키운 결과 생존율과 성장이 매우 양호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일 새꼬막을 채취해 조사해 보니 생존율은 66%였고 평균 무게는 9.9g을 나타냈다.
새꼬막 주산지인 전남 지역의 세꼬막 종패 생존율이 평균 50% 정도이고, 무게도 1년 양식했을 때 평균 9.5g 수준과 비교하면 서해안에서 키운 세꼬막 양식 시험이 성공적으로 평가된다. 연구소는 올해 2년 차 새꼬막 시험양식을 통해 최적의 생장조건을 찾고 구체적인 양식기술을 개발해 도내 어가에 보급할 계획이다.
새꼬막은 성장이 빠르고 채취가 쉬우면서도 바지락보다 가격이 2배가량 높은 고부가가치 품종으로 남해안에 전국 생산량의 90%가 집중돼 있다.
연구소 관계자는 “국내 새꼬막 수요는 증가하지만, 전국 생산량을 감소하고 있다”면서 “경기 연안을 새로운 양식생산지로 개발하면 새꼬막 자원회복과 생산량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경기도에 앞서 충남도도 지난해 1월 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천수만에서 새꼬막 양식에 성공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