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옛 도심 재생 사업 추진
‘김중업 주택’ 등 매입·활용 시도예산보다 호가 너무 높아 난감
|
불도저로 낙후한 주거 지역을 모두 밀어 버리는 대신 마을 만들기 사업을 통해 구도심을 살기 좋은 곳으로 바꿔 나가는 게 도시 재생의 핵심이다. 구도심에서 찾아볼 수 없는 도서관, 보육시설, 노인복지시설 등의 공공시설 건립이 도시 재생의 기반이기 때문에 공무원들은 한옥 등 오래된 주택 매입에 나섰지만 예산에 맞춰 계약을 체결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다.
오래된 주택이 많은 성북구 장위동은 뉴타운으로 지정됐다가 일부는 재개발이 추진돼 아파트 건설이 한창이거나 마을 만들기 사업이 진행 중이다. 장위동 한복판에는 한국 1세대 건축가인 고 김중업이 리모델링한 주택이 있다. 김중업은 현대 건축의 거장 르코르뷔지에 연구소에서 수학했으며 1980년대 구도심 곳곳의 단독주택을 설계했다. 장위동의 김중업 주택은 1986년 그가 재설계한 곳으로 한옥 창호, 온실 공간, 반격지 벽돌, 삼각 타일, 스테인드글라스, 건축 설계 도면 등 김중업의 건축적 사고가 곳곳에 반영됐다.
서울시는 가치평가위원회를 열어 김중업 리모델링 주택을 보존하기로 하고 15억원의 예산까지 배정했다. 하지만 김중업의 제자로 알려진 소유주는 시 공무원이 매매 의도를 물어볼 때마다 터무니없이 가격을 올리고 있어 아예 접촉을 자제하는 중이다. 시는 지상 2층에 지하주차장을 갖춘 김중업 주택을 문화예술공간 등 도시 재생 사업을 위한 공공기반 시설로 활용할 계획이다. 가격 협상이 안 되면 매입을 포기할 수밖에 없어 장위 도시 재생 사업도 타격을 입게 된다.
1년 가까이 건물주와 계약을 진행하며 이사 갈 집까지 정해진 다음에야 겨우 계약서를 쓰기 직전까지 간 일도 있다. 시가 성북동에 박물관 거리를 조성한다며 실크박물관 건립 계획을 세우고 예산까지 배정했지만 건물주인 할머니는 먼 곳으로 이사 가기 싫다고 버텼다. 담당 공무원은 “예산 안의 범위에서 사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건물주를 찾아갈 때마다 가격이 올라가니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다”고 털어놨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6-04-26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