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에 연안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면 급격한 수온 변화로 말미암아 양식생물이 폐사하고 해수욕이나 해양레저를 즐기는 사람이 위험에 처할 수 있다. 수온 차로 인한 짙은 안개가 발생, 선박 안전도 위협한다. 냉수대가 발생한 연안의 표층 수온은 주변 해역보다 5도 이상 낮아지며, 심한 경우에는 10도 이상 낮아진다. 수산과학원은 주변 해역보다 수온이 5도 이상 낮아지면 냉수대 주의보를, 10도 이상 낮아지면 경보를 발령한다.
동해 연안의 냉수대 발생원인은 바람이다. 남풍 및 남서풍 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강하게 불면 표층의 바닷물이 먼바다쪽으로 이동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저층에 있던 낮은 수온의 바닷물이 표층으로 올라오기 때문이다. 냉수대 관련 정보는 수산과학원이 실시간으로 수온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2016-05-2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