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정책을 추진 중인 자치단체 가운데 일부는 소극적이란 지적이 나온다. 괴산군은 고학력 청년실업자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청년인턴제를 시행하지만 선발 인원이 1년에 한 명이다.
충북도의 청년지원과 조직은 생뚱맞다는 평가다. 도는 지난 1월 조직개편을 하면서 복지정책과에 있던 저출산장려팀을 없애고 신설된 청년지원과의 청년복지팀에서 출산장려 업무를 맡도록 했다. 충북참여연대 오창근 사회문화국장은 “도 청년지원과 연간 예산 가운데 가장 많은 70% 정도가 출산장려금으로 잡힌 돈”이라며 “취업난으로 청년들이 결혼도 못하는 상황에서 도가 출산장려금 지원을 청년정책으로 분류한다면 무늬만 청년정책을 편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고 꼬집었다.
청주 남인우 기자 niw7263@seoul.co.kr
2016-06-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