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민선 6기 출범과 더불어 경제분야 시정목표를 창조경제로 설정하고 전국 3대 창업허브로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현재 조성중인 대구 창조경제단지 조감도. 대구시 제공 |
대구시는 민선 6기 상·하반기 동안 창조경제 기반 구축을 위한 다양한 인프라 시설 및 지원사업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3일 밝혔다.
우선 대학 중심의 창업지원체계를 창업지원 전문기관 중심으로 개편했다. 여기에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ICT창업성장지원센터, 콘텐츠코리아랩 등 다양한 전문기관이 함께한다.
대구시는 41개 창업지원사업(2016년 기준 예산 300억원)을 추진 중이며, 창업기업 성장지원을 위한 보육공간 역시 12개 기관, 550개실을 구축·운영하고 있다. 벤처창업기업의 자금문제해결을 위한 창업지원펀드 역시 5개 펀드 715억원을 조성해 지금까지 75개 기업 152억원을 투자하고 있다.
지역 내 다양한 창업관련 정보를 창업자가 한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대구창업지원포털(http://startup.daegu.go.kr)’도 구축해 지난 4월부터 운영하고 있다.
민선6기 하반기 동안 대구시는 이런 기반에서 지역 내 창업지원시스템이 스스로 운영되도록 환경을 조성하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먼저 올해 연말 준공예정인 ‘대구삼성창조경제단지’를 중심으로 대구창조경제밸리(C-Valley)를 조성해 창업공간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민간영역 중심의 창조금융 활성화 및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다양한 민간참여사업도 추진한다. 지역기업의 개방형 혁신과 엔젤투자 활성화를 목표로 한 ‘대구창조경제리더스포럼’은 100여 개 지역주력기업들이 참여한 가운데 현재까지 3회 포럼을 추진했다.
지역 창업기업들의 글로벌 진출 강화를 위해서 프랑스, 중국, 브라질 등의 창업지원기관과 ‘스타트업 공동육성 및 교류협력 기반강화’ 업무협약(MOU)을 계속한다. 특히 최근에는 ‘창업국가 이스라엘’을 있게 한 요즈마그룹과 MOU를 체결, 요즈마 대구캠퍼스 조성 및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공동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구·경북지역 11개 대학과 함께 창조인재육성 프로그램인 ‘C-College사업’을 기획 중이다. 이들 대학은 2016년 2학기 운영을 목표로 창업 강좌 프로그램을 조율 중에 있다.
대구시는 “앞으로도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해 중앙정부의 지원여부와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유지 및 발전할 수 있는 창업생태계 조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