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 덮친 김영란법 후폭풍
부정청탁 및 금품 수수를 금지한 이른바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접대골프가 사라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접대골프’는 1인당 그린피를 포함해 최소 30만∼40만원 정도가 드는데, 이는 김영란법이 허용하는 선물 5만원 이하를 최대 8배나 뛰어넘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각종 편법을 동원한 접대골프가 다시 고개를 들 것이란 분석도 있다. 비용을 현금으로 나눠주는 등 각종 편법이 동원된다는 것이다. 몸을 사릴 기간도 ‘최대 3개월’로 본다. 3개월 정도가 지나면 시범 케이스로 엄단할 사례들이 충분할 것이고, 시민들의 관심도 사라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4일 골프장 업계에 따르면 대다수 골프장은 아직 김영란법 영향권에 들지 않았다. 김영란법이 시행되는 9월 28일 전까지 ‘마지막 만찬’이 진행된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최근 일부 골프장에서 부킹 미달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경기 고양의 한 유명 골프장은 보통 20∼30일 전 주말 부킹이 100%였다. 김영란법 합헌 결정 이후 20∼30%가량 부킹 여분이 남아 있다. 경북의 한 회원제 골프장도 평소 주말에는 부킹 취소가 없는데 최근 1∼2팀씩 예약 취소가 생겼다. 한 골프장 관계자는 “법이 시행되면 어떻게 얽힐지 모르는 마당에 누가 모험하면서까지 골프를 치겠느냐.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고 한숨 쉬었다. 지역의 한 공무원은 “접대골프는 사실 마음이 편치 않았는데, 친구들과 치더라도 쓸데없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이참에 골프를 끊을 생각이다”고 말했다. 반면 골프 회원권 소지자들은 “김영란법 덕분에 편하게 골프를 칠 수 있게 됐다”고 환호하기도 한다.
회원제 골프장들이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 근교 27홀 규모의 회원제 골프장은 현재 2부 운영에 하루 126개 골프팀을 운영하지만,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주말 10개 팀 정도가 사라질 것으로 본다. 월 매출로 따지면 3000만원, 연간으로 보면 3억∼4억원가량의 매출 감소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는 지난해 11월 ‘2016년 골프회원권 값 전망’에서 김영란법이 시행되면 골프 회원권 값이 20∼30%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건설업체 한 관계자는 “사업 인허가가 걸린 상황에서 어떻게든 방법을 강구할 수밖에 없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접대골프를 싸게 하면 100만원 이내에서 해결할 수도 있는데 공무원이나 사업 파트너에게 접대를 어찌 안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6-08-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