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첫 해양미화원 도입 추진
제주도는 해양쓰레기 수거와 처리를 위해 전국 최초로 해양환경미화원 도입을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제주지역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2013년 8281t, 2014년 7250t, 지난해 1만 4475t 등으로 해마다 증가 추세다.
도는 지난해 제주시 12억 5900만원, 서귀포시 10억 9300만원을 들여 폐기물수거업체와 공공근로사업 등을 통해 해양쓰레기를 수거, 처리했다. 각 읍·면·동에 배정된 8~10명 정도의 공공근로자가 지역의 해안변을 돌아다니며 쓰레기를 수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공공근로사업은 고령층 참여 등으로 쓰레기 수거작업이 원활하지 못한데다 청년회, 부녀회 등 마을자생단체의 자발적인 참여도 늘어나는 해양쓰레기를 제때 처리하는 데 역부족이다. 더구나 해안마다 바다에서 밀려와 방치된 쓰레기 더미로 청정 관광지 제주에 대한 이미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실정이다.
한편 쓰레기 발생 억제 등을 위해 내년부터 제주지역 생활쓰레기 봉투 가격이 인상되고, 쓰레기 배출 시간도 오후 7시에서 자정까지로 제한된다. 종량제 봉투 가격이 20ℓ 기준(동지역) 500원에서 740원으로, 음식물 쓰레기 수립·운반·처리 수수료도 ㎏당 22원에서 32원으로 인상된다.
제주 황경근 기자 kkhwang@seoul.co.kr
2016-09-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