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세 조남애(사진) 할머니가 22일 대구시교육청 행복관에서 열린 대구내일학교 졸업식에서 꿈에 그리던 초등학교 졸업장을 받았다.
일제강점기 충북 영동에서 태어난 조 할머니는 소학교 분교에서 일본인 교사로부터 일본어를 조금 배운 게 학력의 전부다. 조 할머니는 “당시 한국 처녀들이 일본군 위안부로 데려가는 분위기여서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한 채 일찍 시집을 갔다”며 “우리글을 제대로 배운 적이 없는 게 한이 돼 대구내일학교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조 할머니는 “가방을 메고 학교로 나설 때마다 가슴이 뭉클했다”면서 “학교에 다닌 1년 동안이 평생에서 가장 행복한 때였다”고 했다.
조 할머니는 “이제는 글 읽는 것도 쓰는 것도 두렵지 않다. 나보다 나이 적은 친구도 많이 생겨 함께 차도 마시고 소소한 이야기도 나누다 보면 가족이 된 듯하다”고 말했다. 또 “건강만 허락한다면 영어를 더 배워 해외여행도 가보고 싶다. 그리고 중학교도, 고등학교도 가고 싶다”고 밝혔다.
대구내일학교는 배움의 기회를 놓친 성인들을 위해 대구시교육청이 운영하는 성인문해학교다. 초·중학교 학력이 모두 인정된다. 조 할머니와 같이 이날 121명이 초등과정을 졸업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69세다. 23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중학과정 71명(평균 나이 71세)의 졸업식이 열린다.
중학과정 최고령 졸업자인 한경순(84) 할머니는 “여자라는 이유로 학교를 다니지 못했다. 항상 마음 한구석에는 못 배운 게 한이었다. 중학과정 3년 내내 남편 병간호하며 다녔는데 두 달 전 남편이 세상을 떠났다. 남편에게 가장 먼저 졸업장을 보여주고 싶다”고 말했다.
졸업식과 함께 열린 입학식에선 초등 과정 149명(주간반 129명, 야간반 20명), 중학 과정 150명이 입학했다. 입학생 평균 연령은 초등 과정 67세, 중학 과정 66세다. 초등 과정 주간반은 명덕초교 등 4개교, 야간반은 중앙도서관에서 수업을 받는다. 중학 과정 수업은 제일중학교에서 진행된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