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0일 김해신공항 건설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비용대비편익(BC)는 0.94, 종합평가(AHP)분석은 0.507로 나와 사업타당성이 있다고 발표했다.
| 서병수 부산시장이 10일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김해신공항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사업타당성이 나온 것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
국토부는 이번 예비티당성 조사를 통해 김해 신공항 건설사업비를 애초 4조 1700억원보다 1조 7900억원이 늘어난 5조 9600억원으로 증액시켰다. 김해신공항 건설사업비는 공사비 2조 8600억원, 보상비 1조 800억원, 접근도로 및 철도 노선 확보 1조 5억원, 기타 970억원 등이다.
국토부는 올해 안으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실시설계, 용지보상(2018~2020년) 착수 및 착공(2020년), 본공사 시행(2020~2025년), 종합시운전(2025년)을 거쳐, 2026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관련, 서병수 부산시장은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결과에 대해 환영의 입장을 나타냈다. 서 시장은 “김해신공항 건설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만큼, 김해신공항은 연간 3800만명을 처리하는 명실상부한 영남권 관문공항으로 건설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 시장은 또 “24시간 운영공항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 김해공항의 소음권역과 신공항 소음피해 예상지역이 공항개발예정지역에 지정되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항 개항 시기를 1년 앞당긴 2025년에 조기 개항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부산 김정한 기자 jhkim@seoul.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