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 갈아입은 홍지문 무명교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금천구, 새내기 공무원 공직생활 예습 교육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50만 강동, 잠재가치를 세일즈합니다”[현장 행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부가가치 4.4조’ 창출…광명시흥 경제자유구역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역사속 공무원] 세계 최대 싱크홀 고려 때?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논 3결 함몰… 4만 6341㎡ 규모

세종도 두려움에 제사부터 지내…성호사설엔 “놀랄 일 아니다”
지반침하로 큰 구덩이가 생기는 ‘싱크홀’은 세계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신라시대부터 나타났다. 가장 오래된 싱크홀은 신라 지마왕 12년 서기 123년 5월 신라 도읍지인 금성에서 발생한 것이다.

‘삼국사기’에는 고구려 19회, 백제 16회, 신라 62회 등 총 97건의 땅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 신라 초기에는 지진이란 용어가 없어 유리왕 11년에는 “집이 무너졌으며, 땅이 갈라지더니 그곳에서 물이 솟았다”는 기록이 있다. 땅이 꺼지는 현상은 지함(地陷)으로 표현했는데, ‘고려사’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싱크홀 기록이 나온다. 현존하는 싱크홀 중에서 깊이로는 375m인 멕시코 제비동굴이, 넓이로는 직경 350m(1099㎡)인 베네수엘라 사리나마 싱크홀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록 문헌상이지만 충북 괴산군 장연면 싱크홀은 이들과 비교도 할 수 없는 초대형급이다.

‘고려사’의 오행지는 목종 4년인 1001년 “중원부 장연현에서 논 3결이 함몰하여 연못이 되었는데 그 깊이를 잴 수가 없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원부 장연현은 현재의 괴산군 장연면으로 결은 농지의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다. 1결은 쌀 300두를 생산할 수 있는 1만 5447㎡로 환산된다. 따라서 이날 발생한 싱크홀은 논 3결, 즉 4만 6341㎡ 규모의 초대형급이다.

땅꺼짐 현상은 조선시대까지도 두려움의 대상이었다. 조선의 임금 중에서 과학 분야 업적이 가장 많았던 세종대왕마저도 싱크홀이 발생하자 현황 파악이나 원인 규명과 같은 기본적인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서둘러 제사 먼저 지냈다. ‘세종실록’ 75권 1436년 12월 8일 두 번째 기사는 황해도 황주에서 둘레 9척(2.7m), 깊이 70척(21.2m)의 땅이 함몰돼 해괴제를 지냈다는 내용이다. 해괴제는 지진이나 땅꺼짐 같은 기이한 재이가 발생했을 때 천지신명을 달래기 위해 지내던 제사다.

‘중종실록’ 82권 1536년 10월 1일자는 홍문관 부제학 성윤의 상소로 ‘재변은 어느 시대에든 있었고 대응하는 방법도 시대와 사람에 따라 각기 달랐다. 최근 경기지방에 땅이 꺼져 함정이 생기고 대낮에 도성 안에서 큰 불이 나는 재변이 있었다. 이럴 때일수록 상하가 한마음으로 재변을 두려워하고 마음을 가다듬어야 하는데 근래 들어 너무 무성의하게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오늘부터라도 정사에 더욱 매진하고 백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도성에서 가까운 경기지방에서 싱크홀이 발생했지만, 하늘의 경고로 받아들여 잘못을 반성하고 하늘과 온 백성을 위하여 성의를 다하면 재변이 더이상 없을 것이며, 두려워할 일도 아니라는 진언으로 이 상소는 결론을 맺었다.

최중기 명예기자(국가기록원 홍보팀장)
‘명종실록’ 21권 11월 16일자는 평안감사가 올린 서장으로 대동강가에서 100보쯤 되는 곳의 대로가 함몰되었는데 둘레가 25척(7.5m), 지름이 7척(2.1m), 깊이가 8척(2.4m)이란 내용이다. 이 정도 규모면 우마차 통행을 완전 차단하고 임시 복구 공사를 벌이느라 한바탕 소동이 일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익은 ‘성호사설’에서 “지진이나 땅이 꺼지는 일은 그리 놀랄 만한 일이 아니다. 원래 땅속에는 빈 구멍이 많고 우리나라도 가끔 굴이 있는데 그 깊이를 알 수 없을 정도이며, 개울물의 흐름이 끊기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다”고 간파했다. 우리 조상들은 변변한 투시기술이나 굴착장비 없이도 백성을 섬기는 정성과 내일을 보는 혜안으로 땅이 꺼지는 재변을 극복했다.

최중기 명예기자(국가기록원 홍보팀장)
2017-06-05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