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가지 5개분야 21개 사업에 325억원 투입
2024년 노인인구가 20%를 넘어 초고령사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경기 안양시는 앞서 노인복지 중·장기 종합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2022년까지 노인을 위한 여가복지시설 확충, 맞춤형 일자리사업 확대, 취약계층 보호 등 5개분야 21개 사업에 325억원을 투입한다.먼저 시는 여가·복지시설인 경로당을 쾌적한 환경으로 바꾸고, 노인을 위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3월부터 1사 1경로당사업을 시작했다. 지역 내 244개 경로당의 80%(204개)가 기업·기관·단체와 결연을 맺어 정기적인 만남을 갖고 있다. 또 ‘한궁’을 실버문화 축제 신규종목으로 채택할 예정이다. 노인들 사이에 인가가 높은 한궁은 전통놀이 투호와 국궁, 양궁을 정보기술(IT)로 접목한 생활체육이다.
노인들의 경험과 지혜를 활용한 맞춤형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직업전환 교육, 재능기부, 취업알선 등 사업도 펼치고 있다. 노인종합복지관, 시니어클럽 등과 연계해 11월 현재까지 취업과 창업형 일자리 41개, 2609명이 일할 기회를 얻었다. 내년에는 일자리 창출 분야에 대한 투자를 더 늘일 계획이다.
또 취약계층 노인에 대한 보호를 강화한다. 시는 노인 치매환자, 지체장애인, 재가·방문보건서비스 이용자 등을 보살피는 ‘노인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00여명 노인들이 이용하고 있다. 65세 이상 소득이 낮은 홀로 사는 노인과 75세 이상 중증질환 수술노인에게 두 달 동안 청소, 세탁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기가사서비스도 운영 중이다. 홀로 사는 저소득층 노인에게는 ‘응급호출버튼’을 무료 제공하고 있다.
이외에도 지난 5월에는 교통약자인 노인을 위해 지난 5월에는 58면의 전용주차구역을 신설했다. 지난달에는 효 문화 확산을 위해 ‘가화만사성’ 축제를 개최했다. 3세대가 함께 사는 22가정 110여명이 참여했다.
이필운 시장은 “현재 안양시의 65세이상 노인 인구(2015년 12월 기준)는 시 전체인구의 10%인 5만 9809명”이라며 “노인복지 중·장기 종합계획을 적극 추진해 노인들이 안심하고 살 수 있는 ‘고령친화도시’ 안양을 만들어 나가겠다”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