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개역 중 9곳 정차·기존 선로 사용… 기존 급행보다 7분만 줄어… 운행횟수도 하루 18회에 그쳐
지난 7월 7일 개통된 경인선 특급열차는 동인천역∼용산역 간 26개 역 중 9개 역(동인천역, 주안역, 부평역, 송내역, 부천역, 구로역, 신도림역, 노량진역, 용산역)에 정차한다. 정차역이 획기적으로 줄어들지 않아 ‘특급열차’라는 이름값을 못하고 있다는 승객들의 불만이 제기된다.
기존 급행열차와 특급열차가 같은 선로를 사용해 사고 방지 등을 위해 속도를 조절해야 하는 것도 특급을 ‘보통급’으로 만드는 요인이다. 결국 운행시간은 40분으로 급행열차 47분보다 7분이 줄어들었을 뿐이다. 때문에 기존 급행열차와 큰 차이가 없다는 게 이용객들의 반응이다.
운행횟수가 하루 왕복 18회에 불과한 것도 이용자들의 불만을 야기한다. 특급열차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시간당 한 번씩 운행한다. 출퇴근 시간대에 자주 운행돼 신속한 이동을 바랐던 이용객들의 기대와는 다르다.
코레일 측은 “초기 단계라 미흡한 점이 있지만 점차 개선해 나가겠다”고 해명하지만, 선로 확장 등 치밀한 준비 없이 특급열차를 신설한 것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을 의식한 전시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1999년 부평역∼용산역 간에 개설된 급행열차는 원성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처음에는 정차역이 7개 역에 불과했으나 이후 확대를 거듭해 지금은 동인천역∼용산역 간 26개 역 가운데 16개 역에 달한다. 안 서는 역(10개)보다 서는 역(16개)이 더 많다 보니 ‘완행 급행열차’라는 비아냥 섞인 불만이 승객들 사이에서 나온다.
정차역이 늘어나다 보니 당연히 운행시간이 증가했다. 급행열차는 47분이 소요돼 일반열차 60분에 비해 크게 차이 나지 않는다. 부평역에서 출퇴근하는 승객 박모(28)씨는 “부평역에서 용산역까지는 급행열차와 일반열차가 8분밖에 차이 나지 않는다”면서 “출퇴근 시간에는 급행열차가 너무 붐벼 차라리 일반열차를 이용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현상은 자신이 이용하는 역에 급행열차가 정차하기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민원이 표를 의식하는 지역 정치인들에 의해 관철되기 때문이다. 인천의 모 전철역은 이 지역을 지역구로 하는 의원이 코레일 측과 직접 접촉해 급행열차 정차역으로 만들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 급행열차 운행 확대에 대한 공약은 선거 때마다 등장한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