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수령들이 읽은 책
군현제에 기반한 조선의 국가 체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제대로 된 수령이 온전하게 역할을 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했다. 수령은 국왕을 대리해 지방을 다스리는 존재였기에 임무가 막중했고 권한도 컸다. 조선에서는 수령의 업무를 7가지로 나눈 ‘수령칠사’를 만들었다. 농사와 호구, 학교, 군정, 부역, 재판, 토호 범죄 등 일곱 영역을 다루는데 조정에서는 해마다 수령칠사 수행 여부를 평가해 고과 자료로 썼다.
|
조선 초기인 15세기에는 중국의 목민서가 주로 쓰였다. 원나라 장양호의 ‘목민충고’와 명나라 주봉길의 ‘목민심감’이 대표적이다. 목민충고는 고려 공민왕 17년(1368년) 진양목사 민선이 발간했는데, 조선 건국 이후에도 꾸준히 주목받자 태조 7년(1398년) 이신이 밀양부에서 간행해 유포했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목민서들은 조선의 사정을 담고 있지는 않았지만 지방관으로서 갖춰야 할 도덕성과 원칙이 무엇인지 명확히 제시해 수령의 직책을 수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줬다.
16세기부터는 조선의 현실을 담은 책들이 만들어져 유통됐다. 유희춘이 지은 ‘치현수지’와 정철이 작성해 활용한 ‘유읍재문’, 17세기 이성기가 편집한 ‘청송지남’ 등이다. 물론 이 무렵 수령의 사법 행정 지침서인 ‘청송제강’, ‘사송유초’ 등도 유통됐지만 이 책들은 수령의 행정·군정·사법 업무를 두루 포괄하는 목민서는 아니었다.
18세기는 ‘목민서의 시대’라 부를 수 있을 만큼 많은 책이 나왔다. ‘치군요결’과 ‘목민고’, ‘거관대요’, ‘선각’, ‘목민대방’, ‘임관정요’ 등이 대거 등장했다. 이때에는 편자 혹은 저자 이름을 알 수 없는 자료도 많았다. 어떤 경우는 자료가 겹치기도 하고 책별로 비슷한 이름의 이본(異本)도 존재했다.
18세기 사회에서 앞선 시기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목민서가 만들어진 것은 17세기 중·후반 이래 사회 변동과 관련이 있다. 이 시기에는 집권 체제가 강화되면서 수령이 행사하는 정치적 역할이 이전보다 매우 커졌다. 정부에서도 수령 지위를 높이며 이들에게 정치적 압박을 강화했다. 이 시기 수령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책무를 대과 없이 치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았다. 자연스레 수령의 행정 경험을 담은 책들을 필요로 했고 이를 편찬하게 됐다.
18세기에 나온 목민서 가운데 안정복의 임관정요는 1757년 안정복이 46세 되던 해 완성했다. 역사 속에서 구현된 수령의 여러 유형을 정리하고 지방의 유력 토착 세력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현실적 수령상을 모색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목민고 계통의 책들도 눈에 띈다. 이들 책은 한결같이 거관대요 등 이 시기 유통되던 다양한 자료를 엮어 만든 특징을 보인다. 또 영조 때 활동했던 이광좌와 조현명, 한지 등 소론계 탕평파 관료들 의견도 싣고 있다.
이처럼 조선에서 목민서가 등장하고 유통되는 양상은 시기별로 달랐지만 18세기에 이르러서 최고로 발전했다.
19세기 전반 정약용이 정리한 목민심서는 이전 목민서들과는 비교할 수 없는 만큼 차이를 보이지만 이는 앞서 조선에서 유통되던 목민서의 경험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목민심서는 그간 조선의 여러 성과를 집대성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한국행정연구원 ‘역사 속 행정이야기’ 요약
정호훈 교수(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12-11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