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사업비 170억원을 우선 투입 ...녹조에 의한 냄새 제거
|
성남시 수정구 성남대로 복정정수장 전경. (성남시 제공) |
이 처리시설은 이상고온으로 발생한 한강 녹조류의 악취를 제거하는 시설이다. 활성탄 흡착지 등을 설치해 기존 정수 공정으로는 잡기 어려운 냄새를 잡아내게 된다.
시는 복정정수장에서 생산하는 수돗물을 공급받는 시민들의 민원 해결이 시급하다고 판단했다.
일반 정수처리시설 전면 개량비 206억원,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비 740억원 등 모두 946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이 완료되면 복정 정수장의 수돗물 생산·공급량은 하루 28만t에서 31만t으로 늘어난다. 시는 환경부와 협의해 2023년까지 국비를 적기에 지원받도록 할 계획이다.
복정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은 2011년 환경부의 국비지원사업에 선정돼 사업비를 국비 70%(518억원), 시·도비 30%(222억원)로 분담하기로 하고 추진됐다. 그러나 올해까지 8년간 지원된 국비가 70억원에 불과했고 이마저도 불규칙하게 지원되는 바람에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사업은 2013년 1월 실시설계 용역과 심의를 마친 상태에서 중단됐다.
계획대로 연 50억원의 국비가 지속해서 지원되고 정상적으로 사업이 추진 되었다면 2019년 완공될 예정 이었다 .
복정정수장 시설이 개선되면 이곳에서는 하루 31만t의 물을 고도정수 처리한 뒤 수정·중원지역과 분당 일부지역에 공급한다.
분당과 판교지역으로 공급하는 수돗물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운영하는 성남정수장(수정구 사송동)에서 생산하며 이곳은 고도정수처리시설이 설치돼 있다. 이로써 성남지역 내 2곳 정수장 모두 고도정수처리시설을 갖추게 된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