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곳곳에서 땅 꺼지는데 국비는 제자리”…서울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환승 횟수부터 반려동물 탑승까지…서울 시내버스 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한글 이름 쓰기’ 등 서울 579돌 한글날 행사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한강 작가 살던 우이동 주택 매입한 강북구…“문학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현장행정] 공유 3종 세트…공유창고·마을우체통·마을의자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마을공동체로 주민자치 실현하는 금천

“시흥 4동은 달라도 뭔가 다릅니다. 주민이 서로 지탱하고 격려해 주는 힘이 있습니다. 좋은 이웃을 얻는 것은 바로 주민 자치의 목표이자 마을공동체를 하는 이유 아니겠습니까.”

차성수(오른쪽) 서울 금천구청장이 지난 달 29일 시흥4동 주민센터에서 열린 마을총회에 참석해 주민들과 올해의 동 특성화 사업 의제에 대해 토론하고 있다.
금천구 제공
 지난달 29일 시흥 4동 주민센터 4층 대강당. 2016년 시작해 올해로 3회째를 맞은 마을총회에 참석한 차성수 금천구청장은 흐뭇한 표정으로 주민에게 이렇게 말했다. 150여명이 모였다. 한 해 동안 시행할 동 특성화 사업을 선정하는 날이다.

이웃 간 필요한 물건을 함께 쓰는 ‘공유창고’.
 동 특성화 사업은 금천구가 예산 편성과 사업기획 권한을 가장 작은 동네 단위인 동으로 과감히 이양해 주민 스스로 기획·실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구는 10개 동에 2500만원씩 2억 5000억원을 내려 보낸다. 그중에서도 시흥4동은 유일하게 동 차원에서 일부 예산을 지원한다. 올해 시흥4동의 자부담 예산은 300만원 정도다.

이웃이 겪는 어려움이나 마을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마을우체통’.
 차 구청장은 “지역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주민 스스로 머리를 맞대 해결할 방법을 찾는다”면서 “시흥4동의 경우 민원이 가장 적은 지역으로 꼽힌다”고 귀띔했다.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설치한 쉼터인 ‘마을의자’.
지난해 시흥4동은 이른바 ‘공유 3종 세트’를 운영해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 성과공유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주민 누구나 필요하지 않은 물건을 기증하고, 또 필요한 물건은 가져다 쓰는 ‘공유창고’, 이웃의 어려운 사정이나 마을에 바라는 사항을 적어 넣는 ‘마을우체통’, 마을 곳곳에 설치해 주민이 쉬고 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마을의자’다.


 지난해 시작한 요리교실 운영, 함께 사는 골목 만들기, 주민이 함께 즐기는 마을축제 세 가지는 계속 이어진다. 새재미 마을학교, 마을소통방 운영 2개 의제가 새롭게 추가됐다. 마을총회에서는 의제별 원형 테이블이 마련됐다. 각 테이블에 앉은 주민은 의제에 맞춰 아이디어를 냈다. 올해 진행하는 마을 활동과 일정 등 기록을 적어 2019년 마을달력을 제작·배포하자는 의견이 나왔다. 차 구청장은 평범한 요리교실 운영에 그칠 게 아니라, 반찬 경연 대회를 열어보자고 제안했다. 차 구청장은 “동 특성화 사업을 시행한 지난 8년간 지역이 많이 달라진 걸 느낀다”면서 “발동 걸린 주민들이 시흥4동을 금천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가장 행복하고 이웃이 함께하는 동네로 만들어 갈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금천구는 주민 자치 실현에 더 힘을 싣기 위해 10개 동의 주민자치위원회를 주민자치회로 격상시켰다. 기존에 주민 자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데 그쳤던 주민자치위 역할이 동으로부터 행정 사업을 위탁받아 직접 주관하는 주체로 확대될 예정이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8-02-0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