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서해 이물질에 미국산 대체
꽃새우값 폭락… 어민들 규탄 대회전북 군산시에 ‘새우깡 사태’ 후폭풍이 거세다. 국민 과자로 유명한 새우깡 생산 기업 농심이 그동안 주원료로 사용하던 서해산 꽃새우를 미국산으로 대체하는 바람에 어민 생계가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농심은 변심 이유로 “서해 환경오염으로 꽃새우에게 이물질이 섞여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하면서 군산과 부안 앞바다를 생업의 터전으로 살아가는 다른 어민들까지 들고 일어날 기세다.
꽃새우 잡이를 하는 군산지역 어민 50여명은 29일 군산시청 앞에서 새우깡 원료로 수입산 새우를 쓰기로 한 농심을 비판하는 규탄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농심에서 새우를 수매하지 않아 가격이 3분의1 수준으로 떨어졌다며 군산시에 판로 확보 대책 마련도 요구했다.
어민 반발에 지역 정치권도 가세했다. 더불어민주당 군산지역위원회는 이날 ‘농심 새우깡은 국민 과자를 포기하려는가’라는 제목의 성명을 발표했다. 지역 정치권도 “농심이 구매처 변경 이유를 서해의 환경오염으로 돌리며, 폐플라스틱 등 이물질이 섞여 품질 저하가 우려된다고 지적한 점에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며 분통 터진 어민을 대변했다. 농심이 서해 환경오염을 지적한 것은 단순히 군산 꽃새우만의 문제가 아니라 서해 모든 생선류는 환경오염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인식을 국민에게 심어 줬다는 것이다. 서해를 먹거리로 살아가는 군산과 김제, 부안, 고창 등 전북도 어민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행위라는 지적이다.
군산 꽃새우 전체 생산량의 60~70%는 농심 새우깡을 만드는 데 사용됐다. 1상자당(14∼15㎏들이) 9만원을 넘어섰던 꽃새우 위탁판매 가격은 농심의 변심 이후 최근 2만 7000원까지 폭락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