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북철도사업과 맞물려 시베리아·유럽까지의 철길시대를 여는 정부의 5차 국토종합계획 강호축(목포~광주~오송~강릉) 추진에 따라 강릉시가 허브거점도시 조성에 나섰다. 정부의 강호축 고속철도 조성계획도. 강원도 제공 |
강릉시는 2024년까지 구정면 금광리와 어단리·덕현리·강남동(박월·유산·담산) 등 동해고속도로 남강릉 나들목 일대 300만㎡에 각각 100만㎡ 규모의 산업, 물류, 거주단지를 갖춘 허브거점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고 8일 밝혔다.
허브거점도시는 정부가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강호축’ 발전계획을 반영함에 따라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었다. 강호축 발전계획은 강원 강릉~ 충북~전남 목포를 연결하는 고속화철도 사업이다. 마무리되면 종전 강릉~목포까지의 5~7시간 거리가 3시간 이내로 가까와진다.
대북철도사업까지 성사되면 목포~광주~오송~원주~강릉에서 북한을 거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모스크바~프랑스 파리~영국 런던까지 갈 수 있는 대륙횡단 고속열차의 노선이 완성되는 셈이다.
이같은 장기 프로젝트를 위해 시는 당초 사업 명칭도 ‘북방물류 거점도시’에서 ‘허브거점도시’로 바꾸고 개발 계획 지정 변경, 교통·환경 영향평가 등을 통한 ‘산업, 물류, 거주단지 등 지정 및 개발계획 수립’ 용역을 위해 이달 중 용역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장찬영 시 균형발전과장은 “강릉은 한반도 신경제구상 환동해축 중심”이라며 “이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남강릉 나들목 주변에 물류, 산업, 주거를 아우르는 허브거점도시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강릉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