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탈출 재발 막기엔 인력 부족 우려
3명이 3교대 파주병원, 사실상 1명 근무
다른 병원도 비슷… “최소 5명은 있어야”
|
경기도의료원 산하 병원에 코로나19 확진자들을 관리할 경비인력이 없거나 턱없이 부족해 최근 파주병원에서 발생한 확진자 탈출사건이 또다시 일어날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사진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 전경. 경기도 제공 |
하지만 이 같은 일이 경기도의료원 산하 다른 병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병원마다 60~100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있지만 이들을 관리할 경비인력이 아예 없거나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27일 경기도와 경기도의료원 등에 따르면 100여명의 확진자가 입원한 파주병원의 경우 경비인력이 3명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3교대 근무여서 사실상 1명이 근무하는 셈이다. 병원을 탈출한 50대는 입고 왔던 옷을 갈아입은 후 도주한 것으로 파악됐다. 파주병원은 이 사건 이후 경기북부경찰청의 협조를 받아 경찰력을 배치했다.
경비인력 부족은 다른 병원도 마찬가지다. 안성병원도 100명에 가까운 확진자가 있지만 상주 경비인력은 단 1명에 불과하다. 이천병원은 60여명의 확진자가 입원 치료를 받는 가운데 경비인력은 응급실에만 2명이 교대로 근무하고 있을 뿐이다. 포천병원도 파주병원과 마찬가지로 3명의 경비인력이 교대로 근무하는데 응급실에 배치돼 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현재 경비인력에 관한 기준이 지방의료원 운영에 관한 법률이나 조례상에 없어 감염병 환자 관리를 위한 별도의 경비인력은 두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다. 병원 관계자들은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맞춰 병원별로 최소 5명 이상의 경비인력이 있어야만 정상적인 관리가 가능하다고 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평소에도 응급실에서의 주취 환자들 문제 때문에 경비인력 확충이 필요했다”면서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지고 병원 정상화가 이뤄지면 병원마다 주 52시간 조건으로 4명씩 경비인력을 충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0-08-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