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 항일운동공원서…제2회 해공민주평화상 시상식도 진행
|
제2회 해공민주평화상 수상식에서 신동헌 (왼쪽 두번째) 시장이 유인태(왼쪽 세번째)전 국회사무총장,강영식(왼쪽 네번째)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장 등 수상자들에게 시상 후 기념사진을 찍고있다. 광주시 제공 |
광주시는 항일운동과 3·1만세운동의 중심지인 남한산성 항일운동공원에서 항일운동 기념탑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항일운동 기념탑이 세워진 남한산성은 의병투쟁사에서 가장 치열했던 전투지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 사건이 발생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이를 계기로 경기지역 의병 2000 여명이 남한산성을 거점으로 삼고 지속적으로 항일운동을 벌였다. 또한, 1919년 3·1운동 당시에는 남한산성 남문 아래 계곡에 300 여명의 주민들이 만세를 부르며 산성 안으로 진입해 시위행진을 한 기록이 있다.
시는 공모에 선정된 후 지난해 항일운동기념탑 건립추진위원회를 출범하고 현상 공모를 통해 작품심사를 진행했다. 항일운동기념탑은 사업비 5억원(국비 1억원, 시비 4억원)을 들여 총 482㎡의 면적에 6m 높이로 제작했다.
신동헌 시장은 “이번 제막식은 3?1운동과 의병전쟁을 스토리텔링화한 조형물로 호국의 장소인 남한산성에 항일운동 기념탑을 건립해 항일운동의 가치와 광주시의 역사를 이어가길 바란다”고 전했다.
해공민주평화상 수상자는 총 3개 부문으로 평화통일 부문에는 강영식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장, 의정발전 부문에는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글로벌리더 부문에서는 사이버외교사절단 반크(단체)가 수상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