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49개 하천 134개 지점 조사
하천 73% ‘1~2등급’…2012년 대비 13%p 향상
|
경기도청사 전경 |
이는 134개 지점을 조사하기 시작한 2012년 대비 13.4%p 향상된 수치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남한강, 북한강, 한강, 안성천 등 49개 하천에서 환경부와 매달 측정한 수질 결과가 담긴 ‘경기도 수질평가보고서’를 발간해 이같이 밝혔다.
1∼2등급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이 3.0 ㎎/L 이하로,일반적인 정수 처리 후 생활용수 또는 수영용수로 사용 가능한 수질이다.
평가 결과, 134개 지점 중 98개 지점(73.1%)이 ‘하천의 생활 환경 기준’ 2등급(약간 좋음) 이상을 받았다. 이는 동일 표본(134개 지점)으로 처음 조사된 2012년 평가 결과(59.7%)와 비교 시 13.4%p 높다.
수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안성천 26개 지점 역시 1~2등급 지점이 2019년 10곳에서 2020년 12곳으로 소폭 증가됐다.
연구원은 환경시설에 대한 투자와 민·관의 노력 등 다양한 수질개선 정책이 수질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2014년에는 134곳 중 좋은 물로 평가된 곳이 67개 지점이었는데,환경시설에 대한 투자와 민·관의 다양한 수질개선 정책으로 수질이 전반적으로 좋아지고 있다”며 “이번 보고서가 지자체의 지속적인 수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적극적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했다.
신동원 기자 asada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