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
“아동, 학부모, 원장, 보육교사 등 보육 주체 모두가 행복한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습니다.”올해 8개 자치구 14개 공동체에서 시범 사업을 벌였던 ‘서울형 공유 어린이집’이 내년 전체 25개 구로 전면 확대된다. 해당 사업을 이끄는 김선순(사진)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을 13일 만나 관련 이야기를 나눴다.
지난 7월 김 실장이 여성가족정책실장으로 발령이 난 뒤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서초구의 한 공유 어린이집이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공약이기도 했지만, 문서만으로는 해당 사업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김 실장은 “각자도생하던 3~5개 어린이집이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 공유하면서 보육의 질을 끌어올리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봤다”며 “특히 원장과 보육교사들이 사업에 애정을 가지고 신나게 일하는 모습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되는 저출산과 코로나19로 인해 어린이집들은 운영난을 호소하고 부모들은 국공립이나 중·대형 어린이집으로 쏠리게 되는 상황에서 공유 어린이집이 해결 방안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김 실장은 “공유 어린이집 공동체를 통해 국공립 어린이집과 가정 어린이집이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국공립 어린이집에 들어가기 위해 대기할 필요 없이 그냥 가까운 어린이집을 보내면 된다”며 “국공립 어린이집을 계속해서 늘리는 것에 무리가 있는 상황에서 공유 어린이집 사업은 아동과 학부모가 만족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사업의 연착륙을 위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예정이다. 김 실장은 “공유 어린이집에서 일했다는 것이 자긍심이 될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참여 확인서를 발급하기로 했다”며 “앞으로도 현장에서 원하는 것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반영해 모든 보육 주체가 만족하는 사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