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산업 진흥구역 유치전 치열
12년간 수출액 6배 이상 성장
해수부, 김 산업 진흥구역 공모
올 3곳서… 2027년 11곳 확대
해남·고흥 등 전국서 7곳 신청
우리 김이 K푸드의 대표 품목 가운데 하나로 주목받자 해양수산부가 공모를 통해 3곳의 김 산업 진흥구역을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김 생산량이 많은 전남과 충남의 기초자치단체들이 유치전에 나섰다. 사진은 전남 해남군 김 양식장 전경. 해남군 제공 |
김 산업 진흥구역을 지정하는 이유는 발전 가능성이 큰 지역을 정해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다. 지정된 곳에는 50억원씩 총 150억원을 지원한다. 2027년까지 11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김 산업 진흥구역은 김 양식 면적이 1000㏊ 이상이거나 마른 김 가공시설이 5곳 이상 있어야 한다.
전국 기초지자체 중 이 요건을 충족하는 곳은 전남에서는 목포·고흥·장흥·해남·무안·완도·진도·신안 등 8곳, 충남에서는 서천 1곳, 전북에서는 군산·부안 등 2곳이다. 올해 유치 신청을 한 곳은 해남·고흥·장흥·완도·진도·신안, 서천 등 7곳이다.
해남군 황산면에서 친환경 지주식 유기인증 김을 생산하는 5개 어촌계는 2014년 12월 전국 최초로 유기수산물 인증을 받았다. 지난해 966㏊에서 물김 2만 708t을 생산해 37억원의 소득을 올렸다.
고흥군의 2022년산 물김 생산량은 전국 생산량의 27%에 이르는 14만t으로 전국 1위를 차지했다. 마른 김도 2716만 4000속(톳·100장)을 생산해 전국의 18% 차지, 1위를 달성했다. 명실상부한 국내 최대 김 주산지인 셈이다. 서천군도 김 산업 진흥구역으로 선정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국회와 중앙부처에 필요성과 효과를 설명하고 충남도와 함께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전남은 지난해 1억 1663만속을 생산했다. 전남은 전국 생산량의 70% 정도를 차지한다. 전북과 충남은 지난해 작황이 좋지 않았지만 부산의 지난해 생산량은 740만속으로 1년 전보다 30% 정도 늘었다.
해양수산부는 김 수출 10억 달러를 목표로 종자 개발부터 생산, 가공 등 김 산업 전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최근 12년간(2010 ̄2021년) 수출액은 1억 1000만 달러에서 6억 9000만 달러로 급증했다. 수출량도 9600t에서 3만t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수출국은 총 114개국이며 주요 수출 국가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다. 이들 나라로의 수출액이 전체의 66%를 차지한다.
서미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