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상구 전남 에너지산업 국장
“전남 해남군의 인구는 1966년 23만여명에서 현재 6만 5700여명으로 크게 줄었고 이마저도 절반 이상이 65세 이상입니다. 통계청에서 발표한 2022년도 평균 농업소득은 948만원으로 국내 가구당 평균 소비지출액 2856만원의 3분의1에도 미치지 못합니다.”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 국장은 23일 서울신문과 인터뷰에서 주민 소득 증대를 위한 영농형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을 전남도의 핵심 정책으로 삼고 본격적인 영농형 태양광 사업 확대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나섰다고 밝혔다.
강 국장은 “영농형 태양광 사업은 농지 보존과 소득 증대는 물론 탄소중립과 인구 소멸 방지,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최적의 대안이라”고 했다. 먼저 “국가와 기업들의 탄소중립 동참과 RE100 참여 선언 등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적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며 “영농형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농형 태양광은 독일에서 시작해 유럽과 일본과 미국 등이 활발하게 추진하는 국제적인 추세”라며 “영농형 태양광 지원법 등 제도 개선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현안이다“고 덧붙였다.
특히 ”태양광 사업과 영농을 병행하는 영농형 태양광은 소득 증대를 통해 농촌 인구 유입의 동력이 된다”며 ”일본은 고령화와 지방소멸 해소를 위해 이미 3000여곳의 영농형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음지식물인 녹차에서는 수확량이 67% 이상 늘었으며, 잦은 비로 기온이 낮아져 수정이 잘되지 않아 냉해 피해가 극심했던 배 농가의 경우 일반 노지보다 60%가량 피해가 줄었다”는 사례도 제시했다. 그는 또 “쌀 생산량은 20% 내외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만성적인 공급 과잉인 쌀의 수급 조절과 쌀값 안정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고 덧붙였다.
강 국장은 ”무엇보다 영농형 태양광을 위해서는 주민 수용성 확보가 가장 중요하다“며 임차농과 소유자, 인근 주민 모두가 만족하는 태양광 사업 추진을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고 말했다.
그는 “농촌에 젊은 사람들이 많아지고 아기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영농형 태양광을 위해 빠른 제도 개선과 지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었으면 좋겠다”며 강한 의지를 보였다.
무안 류지홍 기자
2023-05-2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