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도의원 갑질 백태
지역구 활동에 의회 직원들 동원
물품 구매 거부 땐 예산 심사 ‘보복’
정책관은 업무 외적인 지시 수행
도의장 “철저히 조사해 적절 조치”
민선 7기 시절 도의회 의장의 갑질로 홍역을 치렀던 전북도의회가 민선 8기 들어서도 일부 도의원들의 무분별한 처신으로 비판을 받고 있다.
24일 전북도와 도의회에 따르면 일부 의원들이 갑질, 이권 개입, 인권 침해 등으로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 전북도의회에서 일어난 의원들의 문제 행위는 ▲지역구 활동에 의회 직원 강제 동원 ▲업자 소개와 물품구매 압력 ▲업무 외적인 보좌 요구 ▲인권 침해 행위 ▲보복성 자료 요구 등이다.
A의원의 경우 지역구 면민의 날 행사 등 해당 상임위와 무관한 개별 활동에 도의회 직원들을 상습적으로 동원해 공분을 사고 있다. A의원은 도의회 직원들을 지역구로 불러 운전이나 의전을 하도록 시키는 등 갑질을 일삼은 것으로 확인됐다. 과중한 업무로 지원을 거부할 경우 호된 질책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북도도 자신의 지역구 등에 현장행정을 오는 횟수가 적다는 A의원의 지적에 지난 9일 실장급 고위 간부 2명과 과장급 2명 등이 부랴부랴 해당 지역을 방문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B의원은 도청과 도교육청 등에 특정 업체로부터 각종 물품을 구매하라고 압력을 넣었다. 도 직원들은 “B의원의 요구를 거부할 경우 예산안 심의 때 애를 먹고, 보복성 자료를 끝없이 요구하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부탁을 들어줄 수밖에 없다”고 털어놓았다.
전북도의회가 채용한 6~7급 정책지원관들도 임기제 신분을 유지하기 위해 의원들의 업무 외적인 지시까지 대부분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책지원관들은 “진정한 정책 보좌보다는 인사말, 도정질의, 5분 발언 등 의원이 직접 준비해야 할 각종 문건을 대신 작성하는 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국주영은 도의회 의장은 “일부 의원들의 문제점에 대한 소문은 들었으나 밖으로 드러난 것이 없어 지켜보고 있다”면서 “도의원으로서의 품위를 떨어뜨리고 직원 등에게 피해를 주는 행위는 철저하게 조사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