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대비 공급 과다 불균형… 경기 택시 ‘몸살’
택시 매년 늘어… 작년 3.7만대
대당 수송객 20년간 1만명 ‘뚝’
21개 시군서 4441대 감차 필요
도 “강제성 없어 효과는 미미”
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택시 면허 대수가 해마다 증가하는 반면 이용객 수는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000년 2만 5303대였던 경기도 택시는 2009년 3만 5366대, 2018년 3만 7404대, 지난해 3만 7925대로 늘어났다.
하지만 택시 1대당 연간 수송객 수는 2000년 2만 9672명에서 2009년 2만 2366명, 2018년 1만 9957명, 지난해 1만 6718명으로 크게 감소했다. 약 20년 동안 택시 1대당 연간 수송객 수가 1만 2955명 줄어든 것이다. 택시 수가 늘어난 것을 감안하더라도 택시 이용 수요 감소가 두드러지게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일일 평균 택시 수송객 수를 살펴보더라도 2010년 332만 7155명에서 2020년 148만 5946명으로 연평균 7.7% 감소했다.
이는 큰 제약 없이 택시 산업에 뛰어들 수 있기에 신규 택시 면허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과 달리 대중교통 활성화와 자가용 승용차 보급 확대로 택시를 찾는 수요가 점점 줄어든 것이 합쳐지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신규 택시 면허 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별다른 감차 정책이 없다는 문제도 뒤따른다.
수요 대비 공급이 과다한 지역을 중심으로 감차 및 증차의 필요성이 있지만 실제 행동에 나선 시군은 단 2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동두천시가 34대의 택시 감차 계획을 발표했고, 지난달 성남시가 174대의 감차 계획을 내놓은 게 전부다.
도 관계자는 “택시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택시 총량 유지를 목표로 하는 충분한 감차 보상비 확보와 감차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 등이 필요하다”면서 “시군 참여를 독려하고 있지만 감차 등이 자율인 탓에 쉽지는 않다. 특히 인구가 늘어나는 시군도 있고 비용 문제도 만만치 않다”고 말했다.
임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