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선별 관제시스템 3배 늘려
CCTV도 2027년까지 552곳으로
공원 안전지킴이 새달부터 운영
여성 안심귀가 서비스 대폭 강화
30일 관악구에 따르면 신림역 주변엔 1인 가구가 많이 거주하는 데다 역 주변 하루 유동 인구만 19만명 이상으로 범죄에 취약하다. 또 구 전체 면적의 59%를 관악산 공원이나 임야가 차지해 23개 등산로 전체 길이만 77.8㎞에 달해 전 지역의 안전을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구는 우선 주요 공원이나 산책로, 등산로 등 범죄 발생 취약 지역에 대한 순찰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자원봉사자와 자율방범대 등 50명 이상으로 구성된 ‘공원 안전 지킴이’(가칭)를 신설해 다음달부터 운영한다. 이들은 2인 1조로 하루 3회 이상 공원과 등산로 코스의 안전을 점검한다.
또 자율방범대, 공무원, 경찰 등 3~6명이 1조를 이룬 21개 조가 주 2회 이상 다중 밀집 지역과 폐쇄회로(CC)TV 사각지대, 주택가 인근 공원 등을 중심으로 순찰에 나선다. 1인 가구와 유동 인구가 많고 민원이 잦은 대학동 동주민센터에는 ‘안전 보안관’(가칭)을 오는 10월부터 배치한다.
아울러 구는 범행 욕구를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범죄 예방 시설을 확충할 방침이다. 우선 공원과 등산로에 설치된 지능형 CCTV를 현재 297곳에서 2027년 552곳으로 늘린다. 쓰러짐 등 특정 움직임을 감지하는 지능형 선별 관제 시스템도 현재 1400대에서 2027년 4168대로 대폭 확대한다.
1인 여성 가구를 위한 안심 서비스도 확대한다. 귀갓길에 동행하는 ‘여성 안심 귀가 스카우트’ 대원은 21명에서 50명으로, 신림역 등 안전 취약 지역은 기존 2개 조에서 3개 조로 늘린다.
여성 1인 가구에 지급하는 안심 장비에 손으로 누르면 소리와 빛이 나오는 경찰용 호루라기도 추가한다. 이 외에 등산로나 지하철역 등 취약 지역에 호루라기 등 개인 호신용품을 비치할 계획이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최근 잇따른 범죄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주민들을 생각하면 마음이 무척 무겁고 큰 책임감을 느낀다”며 “지역 특성에 맞는 안전 대책을 추진해 안전한 삶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