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강선 연장 노선 계획은 경강선을 경기광주역에서 분기해 용인 남사까지 37.97㎞를 잇는 사업이다.
총 사업비가 2조 3154억원 투입될 걸로 예상되는 사업으로 용인시와 광주시가 공동 용역을 통해 사업성을 조사한 결과 해당 노선의 비용 대비 편익(B/C)은 0.92로 나왔다.
통상 B/C 1.0 이상이면 사업성이 있다고 보나,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하는 노선의 B/C 기준은 ‘0.7 이상’이어서 경강선 연장선 또한 사업 추진에 있어 적격성을 갖춘 것으로 분석된다.
용인시는 이동·남사읍 첨단시스템 반도체 국가산업단지(747만㎡, 226만평)와 배후도시인 이동읍 반도체 특화 신도시 공공택지지구(228만㎡, 69만평, 1만6000호)가 조성되면 직간접적으로 160만명의 고용유발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경강선 연장 노선 철도망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경기 광주역세권 활성화 및 복합용지(산업·상업 48만㎡)개발사업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상일 시장은 “용인에 국가의 미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첨단시스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가 국가산업단지 형태로 조성되고, 국가산단 옆에 반도체 특화 신도시까지 만들어지게 되는 만큼, 국가산단에서 일할 인재들과 처인구 시민들의 교통편의가 대폭 증진돼야 한다”면서 “국토교통부가 경강선 연장계획을 제5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신규사업에 반드시 반영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신동원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