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물질 분석… 상류 ‘매우 좋음’
하류 지역 ‘좋음’으로 크게 개선
울산보건환경연구원은 태화강의 시공간적 수질변화 특성을 연구한 결과 수질이 ‘좋음’ 등급 이상이라고 24일 밝혔다.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등급은 매우 좋음(ℓ당 1㎎ 이하), 좋음(2㎎ 이하), 약간 좋음(3㎎ 이하), 보통(5㎎ 이하), 약간 나쁨(8㎎ 이하), 나쁨(10㎎ 이하), 매우 나쁨(10㎎ 초과)으로 구분된다. 이번 연구는 태화강 상류 2개 지점, 중류 4개 지점, 하류 4개 지점 등 총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1997년부터 지난해까지 27년간 측정한 수질오염물질 농도 현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상류인 울주군 덕현·지헌의 BOD 평균 농도는 전체기간 ℓ당 0.4∼0.6㎎으로 ‘매우 좋음’ 등급으로 조사됐다. 중류인 울주군 반송·대암·망성·구영의 평균 농도는 1997년 ℓ당 1.4㎎에서 지난해 1.2㎎으로 개선되는 등 좋음 등급을 유지했다.
하류인 삼호·태화·학성·명촌의 평균 농도는 1997년 ‘매우 나쁨’(ℓ당 10.0㎎)에서 지난해 ‘좋음’(1.6㎎)으로 크게 개선됐다. 연구원 관계자는 “2000년 이전 BOD 평균 농도 ℓ당 10㎎을 초과해 죽음의 강으로 불렸던 태화강의 수질이 생태하천으로 변모했다”고 말했다.
울산 박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