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연결도로 벌써 세 번째
노을대교도 참여 업체 못찾아
광주 도시철도 수의계약 전환
26일 전북 건설업계에 따르면 최근 턴키(설계시공 일괄입찰) 방식의 ‘새만금 지역 간 연결도로 건설공사 1, 2공구’ 입찰이 유찰됐다. 벌써 세 번째다. 3차 공고에서도 각각 한 곳의 컨소시엄만 PQ(입찰참가자격 사전심사) 서류를 접수했다.
새만금 지역 간 연결도로는 새만금 내 주요 산업단지와 스마트 수변도시, 관광레저용지 등을 연결하는 20.76㎞ 길이의 6차선 도로다. 1공구는 관광레저용지 내부와 순환 링을 잇는 총연장 9.37㎞ 구간이며 2공구는 새만금 랜드마크가 될 국내 최초로 순환링 형태의 총연장 8.28㎞ 구간이다. 1공구 추정금액은 3132억원이고, 2공구는 6337억원이다. 그러나 지역 업체들은 “낮은 사업비에 초기 적자가 우려된다”며 공동도급 참여를 꺼리고 있다.
4번이나 유찰된 고창-부안을 잇는 노을대교 건설사업도 사업 예산이 적어 시간만 허비하고 있다. 국도 77호선의 유일한 단절 구간인 노을대교는 지난 2021년 9월 제5차 국도·국지도 건설계획(2021~2025)에 반영돼 17년 만에 사업이 추진됐다. 하지만 그동안 상승한 인건비와 건설 자재비 등이 반영되기는커녕 예비타당성 조사 일괄통과 과정에서 사업 예산이 되레 줄었다. 연이은 유찰에 공사비를 3450억원에서 3870억원으로 인상했지만 소용없었다. 이에 해당 지자체와 지역 정치권은 중앙정부에 사업비 증액을 요구하고 있다.
광주시 도시철도 2호선 2단계 7공구와 10공구의 건설공사는 5번이나 유찰됐다. 7공구에는 2개 업체가 참가했지만 모두 예정가격을 초과했고, 10공구는 1개 업체만 단독 응찰했다. 공사 지연으로 2029년 완공 계획에 차질이 예상되자 도시철도건설본부는 입찰에 참여했던 업체 등과 논의해 수의계약으로 공사업체를 선정하기로 했다.
전주 설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