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임금 7% 인상·노동3권 보장”
사측 “3.6%까지 가능… 협정 지켜야”
국내 첫 상생형 광주 일자리 모델로 관심을 모은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위기를 맞고 있다.
노동조합이 임금 인상과 노조 활동 보장 등을 촉구하면서 출범 5년 만에 부분파업에 돌입했기 때문이다. 노조는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주장하고 있고, 사측은 ‘노사상생발전협정서’ 준수가 우선이라고 맞서며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12일 금속노조 GGM지회에 따르면 노조는 지난 10일 광주시청 앞에서 조합원이 모인 가운데 파업선포식을 갖고 부분 파업을 벌이고 있다. 2019년 GGM이 출범한 이후 5년 만의 첫 파업이다.
노조는 올해 임단협 과정에서 월급 15만 9200원(약 7%)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은 물가상승률 3.6%를 반영한 임금 인상 외에는 추가 인상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 교섭이 결렬됐다.
노조는 현재 간부 20명이 4시간 부분 파업을 벌이고 있지만 13일부터는 228명 노조원이 2~3개 부서별로 파업하기로 했다. 세부 일정은 쟁의 대책위원회에서 결정하기로 했다.
GGM노조는 “이번 주부터 부분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며 구체적 규모와 시간은 공개할 수 없다” 면서 “부분파업과 관련된 방식과 참여인원, 시기는 이미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GGM 측은 “생산라인의 담당근로자가 작업에서 빠지게 되면 생산차질이 우려된다. 일반직 인력 등을 투입해 최대한 물량을 맞출 것”이라며 “파업과 상관없이 노조 측과 대화를 이어가고 있다. 협상 공문까지 노조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편 GGM은 올해 5만 6800대를 생산할 예정이고 하루 생산량은 200여대로 알려졌다.
광주 서미애 기자
2025-01-14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