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53명 규모 소제지구 개발 추진
만흥·율촌지구 4만명 유입 예상
미분양 사태·도심 공동화 불보 듯
18일 여수시에 따르면 지난 1998년 32만 9409명이었던 시 인구는 지난해 26만 7816명을 기록해 매년 2400여명이 줄고 있다. 특히 석유화학 경기 침체로 산업위기 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올해는 7월 기준 26만 5101명을 기록해 지난해에 비해 벌써 2715명이 줄어드는 등 인구 감소 현상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이런데도 여수시는 98만㎡ 부지에 1만 3000명을 수용하는 죽림지구 택지 개발 준공 앞두고 있고 내년 말 완공을 목표로 42만㎡ 부지에 7853명을 수용하는 소제지구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다 40만㎡에 7000여명을 수용하는 만흥지구 개발과 300만㎡에 1만 5000가구 3만 5000명을 수용하는 율촌지구 개발까지 진행하고 있다.
무엇보다 여수시는 지난 1월 투자 심사 전문기관으로부터 율촌지구 타당성 조사에서 사업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도 최근 기본구상 재수립을 통해 재추진에 나섰다. 타당성 조사를 위해 64만㎡에 계획인구 5350명으로 사업 규모를 줄이고 단계적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마련해 지난 2일 행정안전부 투자 심사를 위해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여수 경제의 근간인 석유화학 경기 침체로 인구가 급감하고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된 상황에서도 택지 개발을 계속 강행하는 것이다. 현재 2만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택지가 준공을 앞두고 여수시가 만흥지구와 율촌지구 택지 개발을 계획대로 추진할 경우 4만명이 넘는 인구가 유입돼야 하는 상황이다.
시민들은 해마다 2000여명이 넘는 인구가 감소하는 여수시에 계획인구 4만명이 넘는 신도시가 들어설 경우 인구 감소와 신도시 이동에 따른 도심 공동화는 물론 개발 택지의 미분양까지 우려하고 있다.
여수 류지홍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