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기후에너지환경부 변경
에환부 아닌 기후부로 약칭 결정
어감·의미 부여 따라 명칭 엇갈려
25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다음달 1일 산업통상자원부의 ‘에너지 정책’을 넘겨받아 ‘기후에너지환경부’로 확대 개편될 예정입니다. 정부가 국정과제에서 ‘에너지와 환경’ 분야에 무게를 실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칭은 ‘에환부’가 돼야 하지만 어감이 좋지 않아 결국 ‘기후부’로 정했습니다. 환경부는 “기후가 가장 포괄적인 개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명칭에서 뒷전이 된 에너지·환경 분야 공무원은 불만입니다. 환경 분야 공무원은 “기후는 환경의 하위 개념”이라며 ‘환경부’로, 에너지 담당 공무원은 이재명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의지를 반영해 ‘에너지부’로 불려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무산됐기 때문입니다. 반면 환경부 내 기후탄소정책실 공무원들은 사상 처음으로 부처 명칭에 ‘기후’가 들어가자 이를 반기고 있습니다.
에너지를 떼어 낸 ‘산업통상부’의 약칭은 기존대로 ‘산업부’로 유지되거나 약칭 없이 ‘산업통상부’로 표현될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 산업자원부가 ‘산자부’로, 외교통상부가 ‘외통부’로 불렸다는 전례를 고려하면 ‘산통부’가 돼야 합니다.
하지만 산통(産通)이 산통(産痛 또는 算筒)의 의미로 오해받을 수 있어 희박해 보입니다. ‘정부 조직 약칭과 영어 명칭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약칭을 정할 때 불필요한 오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표현이 금지됩니다.
앞서 고용노동부는 2010년 이후 15년 만에 ‘고용부’에서 ‘노동부’로 약칭을 바꾸면서 고용정책실과 노동정책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세종 이영준 기자
2025-09-2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