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서구 갈등에 명칭 재심의 또 연기
내년 초 개통할 예정인 인천 제3연륙교가 이름이 없는 ‘무명’(無名) 상태로 개통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전날 예정됐던 시 지명위원회의 제3연륙교 명칭 재심의가 또 연기됐다. 재심의 연기는 지난달 17일에 이어 두 번째다.
지명위가 재심의를 열지 못한 이유는 제3연륙교 시·종점 지역인 중구와 서구의 갈등 때문이다. 지명위는 앞선 지난 7월 28일 제3연륙교 명칭을 ‘청라하늘대교’로 채택했다. 이 명칭은 서구의 대표 신도시 ‘청라국제도시’와 국제공항이 있는 중구 영종도를 대변하는 ‘하늘길’의 상징성을 결합한 것으로 중립 명칭이다. 중구는 ‘영종하늘대교’를, 서구는 ‘청라대교’를 각각 요구했으나 이를 합쳐 만들었다.
그러나 중구와 서구 모두 이의를 제기하면서 재심의 절차를 밟게 됐다. 재심의에서도 중구와 서구 양쪽 모두를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면 제3연륙교 명칭 선정 권한은 국토교통부 국가 지명위원회로 넘어간다.
국가 지명위 심의 결과에 대해서는 이의를 제기하는 절차가 없다. 이 때문에 인천 시민들의 의사와 무관한 명칭이 선정될 수도 있다. 또 내년 초 개통 전까지 국가 지명위의 최종 결정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도 높다.
제3연륙교는 영종대교(제1연륙교), 인천대교(제2연륙교)에 이어 영종도와 육지를 연결하는 세 번째 연륙교다. 길이 4.68㎞, 폭 30m 왕복 6차로로 총사업비 약 7700억원을 투입해 건설 중이다.
강남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