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9월 4일에 건설·농업기계 전동화 현황 및 과제 토론회 개최
환경부(장관 김성환)는 제6회 '푸른 하늘의 날(매년 9월 7일)'을 계기로 9월 4일 오후 킨텍스(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소재)에서 '건설·농업기계 전동화 현황 및 과제 토론회(세미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화석연료 중심의 건설·농업기계의 탄소중립 실현화를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연구계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건설·농업기계 전동화·전기화의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2부로 구성된 이번 토론회는 '건설·농업기계 전동화를 위한 기술 및 정책과제'에 대한 기조 발표로 행사가 시작된다. 1부·2부에서는 각각 건설·농업기계 전동화 동향 및 과제 등에 대한 발표 및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건설·농업기계 분야는 높은 출력과 장시간 운용, 현장 특유의 열악한 환경 등으로 인해 현재까지는 전동화·전기화 수준이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기술개발 등 극복해야 할 과제와 새로운 성장 기회가 맞물려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기도 하다.
* (건설기계) 「건설기계관리법」상 등록된 건설기계 약 55만 4천대 중 전동화된 건설기계는 약 8천 500대(1.5%)(농업기계) 「농업기계화 촉진법」상 농업기계 약 197만 8천대 중 전동화된 농업기계는 약 2만 2천대(1.1%)
환경부는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건설·농업기계 전동화에 대한 중·장기 이행안(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산업 생태계 육성 및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일자리 창출,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탄소중립 목표 달성 등 다각적인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탈탄소 녹색문명 사회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미래로 화석연료 기반 건설·농업기계의 전동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전동화를 위한 정책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산업계와 학계, 연구계와 협력하여 전기 건설·농업기계 산업 분야의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행사 개요.2. 행사 포스터.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