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수출 이(e)-로움' 정책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품목분류(HS) 코드 첫 공개 |
- 품목분류(HS) 4·6·10단위 동시 제공 … 중소기업의 수출신고 정확성·편의성 동시 제고 - 전자상거래 주요 수출 물품 파악 … 수출전략 수립과 해외시장 대응에 활용 |
□ 관세청은 10월 31일(금) 전자상거래 수출지원을 위한「수출 이(e)-로움」정책의 일환으로,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리스트와 품목분류(HS)* 코드를 최초로 공개했다.
* HS(Harmonized Systems) 개요
- HS란 국제적으로 교역되는 상품에 대하여 관세부과, 통계수집, 운송, 보험 등 다양한 목적에서의 통일된 분류를 위해 상품의 명칭을 숫자 코드와 연결하여 만든 상품 분류표이다.
- 상품과 연결하여 만든 숫자 코드를 흔히 HS코드, 품목번호, 세번부호라고 칭한다.
ex) 여성용 청바지의 HS코드 : 6204.621000
ㅇ 이번에 공개하는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은 실제 수출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것으로, 해당 품목의 품목분류(HS) 코드를 제공하여 수출기업이 자사 물품을 보다 쉽게 파악하고 정확하게 신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24년 수출신고 · 품목분류(HS) 코드 10단위 품목 · 금액 기준
□ 수출기업이 세관에 신고하는 품목분류(HS) 코드 10단위에는 특정 품목으로 분류되지 않는 나머지 상품을 통합한 '기타(other)' 항목이 많아, 해당 코드만으로 상품의 세부 정보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ㅇ 이에 상위 분류인 품목분류(HS) 코드 4단위와 6단위를 함께 제공하여 유사 품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고, 분류 오류를 줄여 수출신고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HS 단위 | 품목번호 | 품 명 | 비 고 |
2단위 | 62 | 의류 | 대분류, 전 세계 공통 |
4단위 | 6204 | 여성용 슈트 · 재킷 · 바지 | 중분류, 전 세계 공통 |
6단위 | 6204.62 | 면으로 만든 것 (of cotton) | 소분류, 전 세계 공통 |
10단위 | 6204.62-1000 | 청바지 (Of denim, including blue jeans) | 세부 분류, 국가별 상이 |
□ 공개된 품목 내역을 보면 화장품, 음반, 의류, 전자기기, 식품 등이 주요 수출품목군으로 자리 잡았으며, 이는 케이(K)-뷰티, 케이(K)-콘텐츠, 케이(K)-패션 등 한류 소비재의 해외 인기가 높음을 보여준다.
ㅇ 작년 대비 올해 9월까지의 순위 변화를 보면 패션 잡화, 생활용품, 유아용품 품목군이 눈에 띄는 순위 상승을 보였으며, 앨범, 신발류, 인삼제품, 담배는 순위가 크게 하락하였다.
< 전년 대비 주요 순위 변동 품목 현황 >
상승 품목 | 하락 품목 | ||||||
품목 | HS코드 | 순위 변동 | 비고 | 품목 | HS코드 | 순위 변동 | 비고 |
가방류 | 4202.92-2000 | 66위→21위 | 45계단 상승 | 신발류 | 6404.11-0000 | 18위→51위 | 33계단 하락 |
실내 방향제 | 3307.49-0000 | 45위→23위 | 22계단 상승 | 앨범 | 4820.50-0000 | 16위→58위 | 42계단 하락 |
주방용품 | 3924.10-0000 | 49위→36위 | 13계단 상승 | 인삼제품 | 2106.90-3029 | 23위→100위 밖 | 순위권 이탈 |
유아용 의류 | 6111.30-2000 | 65위→38위 | 27계단 상승 | 담배 | 2402.20-1000 | 58위→100위 밖 | 순위권 이탈 |
□ 이명구 관세청장은 "이번에 공개한 100대 품목은 정확한 수출신고를 위해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리 기업이 주요 전자상거래 수출 물품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고 품목별 수출전략 수립과 해외시장 변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ㅇ "앞으로도 '수출 이(e)-로움' 정책 기조 아래, 기업이 체감하는 맞춤형 관세행정을 통해 작은 기업도 글로벌 시장에서 이로움을 얻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붙임 1. 전자상거래 수출 상위 100대 품목 리스트(별첨)
2. 전자상거래 수출 관련 주요통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