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시험을 위한 교통편 확보는 수험생들에게 있어서 필수 준비사항.나흘간 치러지는 시험이 평일에 실시될 뿐더러 시험장도 사시 수험생들이 몰려 있는 신림동과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출근길에 빚어지는 교통체증으로 자칫하면 오전 9시30분부터 시작되는 시험시간에 늦을 수 있다는 게 수험생들의 우려다.
수험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통편은 고시학원 등에서 제공하는 ‘단체버스’다.신림동 학원들은 해마다 관광버스를 빌려 일반형은 2만원에,우등형은 6만원에 신림동에서 시험장까지 4일 동안 왕복 운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비용이 저렴하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수험생 이미숙(28)씨는 “2만원을 내고 학원 단체버스를 이용하기로 했다.”면서 “다른 수험생들과 함께 움직이니 마음도 안정되고 가격도 마음에 든다.”고 말했다.
단체버스는 서두르지 않으면 등록을 못할 정도로 인기다.V법학원 관계자는 “2차 시험장인 고려대·연세대·중앙대·한양대 4곳에 버스 2대씩을 배정,운영할 계획인데 벌써 마감됐다.”면서 “여유좌석이 없느냐는 수험생들의 문의가 끊이지 않는다.”고 말했다.H법학원 관계자도 “벌써 300명 정도가 단체버스를 이용하겠다고 신청했다.”면서 “시험장소에 따라 많게는 4대까지 운행할 계획인데 이마저 모자랄 지경”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단체버스 등록을 놓쳤거나 개인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선호하는 수험생들이 택하는 교통편은 콜택시다.바쁜 아침 택시잡기가 힘들 것에 대비해 콜택시를 예약하는 것.하지만 비용상의 부담 때문에 대개는 3∼4명이 조를 짜서 이용한다.수험 관련 인터넷 게시판에는 콜택시로 함께 움직이자며 멤버를 모집하는 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아예 시험장 근처에 숙소를 잡는 수험생들도 적지 않다.신림동에서 거리가 먼 고대와 한양대에서 시험을 봐야 하는 수험생들이 많이 택하는 방법이다.이들 학교 앞 하숙집,원룸들도 수험생들을 유치하기 위해 전단을 뿌리는 등 홍보에 적극적이다.고대에 배정된 수험생 고모(32)씨는 “시험장소까지 왔다갔다하는 시간이 아까워 10일 정도 머물 하숙집을 구했다.”면서 “20만원 정도 비용이 들었지만 안정적으로 공부할 수 있어 만족한다.”고 말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