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울시에 따르면 8월 말까지 각 자치구로부터 뉴타운사업 신청을 접수한다.이어 신청지역를 대상으로 9∼10월 현장조사와 지역균형발전심의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10월 말 또는 11월 초 최종 결정하게 된다.
이는 이달 말까지 신청을 받은 뒤 9월 말까지 대상지역을 확정하겠다는 당초 방침보다 한달 이상 미뤄진 것.김병일 시 뉴타운사업본부장은 “지난해 11월 선정한 2차 뉴타운사업지구 12곳의 개발 기본계획 수립이 늦어져 중복을 피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면서 “(3차 뉴타운) 신청에 제한은 두지 않겠지만 지역간 형평성을 감안해 선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시는 지금까지 모두 15곳의 뉴타운사업지구를 확정했다.지난 2002년 선정된 은평·길음·왕십리뉴타운 등 1차 시범지역 3곳은 개발 기본계획안을 수립,이미 사업에 착수한 상태다.
2차 대상지역 중 ▲마포구 아현뉴타운 ▲종로구 교남뉴타운 ▲양천구 신정뉴타운 등 3곳의 개발 기본계획안이 최근 발표됐다.또 ▲강동구 천호동 ▲강북구 미아동 ▲강서구 방화동 ▲동대문구 전농·답십리동 ▲동작구 노량진동 ▲서대문구 남가좌동 ▲영등포구 영등포동 ▲용산구 이태원·한남·보광동 ▲중랑구 중화동 등 나머지 9곳도 늦어도 오는 8월 말까지 개발 기본계획안 수립을 마친다는 계획이다.
이어 3차 뉴타운사업 대상지역 10곳이 추가로 지정되면 시가 당초 목표로 한 25곳의 대상지역이 모두 정해지게 된다.
현행 서울시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조례’에 따르면 뉴타운사업지는 개발시급성과 파급효과,개발계획방향 적정성,자치구와 주민의 추진의지,권역별 지역간 형평성 등을 감안해 선정하게 된다.김 본부장은 “개발형태는 계획수립과정에서 해당 주민들과의 협의를 통해 자립 재개발 방식이나 도시계획사업 등을 도입하고 사업이 실천 가능한 곳부터 우선 착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시는 대상지역 25곳에 대해 늦어도 내년 말까지 사업에 착수,오는 2012년쯤 마무리한다는 구상이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