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영어문화원이 올 여름방학 동안 경기지역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려 마련할 영어 캠프에 무려 1만 137명이 지원해 9.7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이를 학년별로 보면 초등학교 6학년생이 전체의 2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21.8%였던 초등학교 5학년 그리고 19.3%였던 초등학교 4학년 순이었다.영어 캠프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보니 국내의 사설 캠프를 찾는 발길도 잦다.올해로 12번째 영어 캠프를 준비하고 있는 ‘MBC영어캠프’의 경우 어느새 350여명의 회원이 접수를 마쳤다고 한다.1주코스 기준으로 참가비가 60만원에 육박하는 형편이고 보면 영어 캠프 열기를 짐작하게 한다.
그러나 40개에 이르는 모든 영어캠프가 회원을 쉽게 확보하는 것은 아니다.요즘 세상 인심이 그렇듯 알찬 콘텐츠로 캠프를 짜임새있게 운영하는 업체에 집중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보인다.얼마 전엔 영어 캠프의 콘텐츠를 비교해 보여주는 사이트(www.edumall365.com)가 생겨 선택의 길잡이를 해주고 있다.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해외 캠프를 떠올려 볼 수도 있다.미국이나 캐나다,호주나 뉴질랜드에서 마련되는 캠프는 4주 코스에 400만원을 호가한다.요즘엔 3주 코스에 200만원을 약간 웃도는 필리핀 캠프도 선보이고 있다.그러나 여름방학은 기간이 짧기 때문에 대체로 국내 캠프를 많이 이용하고,기간이 긴 겨울방학에 중학생이나 초등학교 고학년을 중심으로 해외 캠프를 선호하는 게 보통이다.
인터넷에서 ‘영어캠프’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하면 웬만한 영어 캠프는 확인이 가능하다.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하건 캠프를 보냈다 해서 영어 실력이 부쩍 늘 것으로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캠프를 보내서 영어를 모두 잘한다면 영어를 못할 사람이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