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구 보광동 언덕배기에 자리잡은 오산고는 일반 교과목 수업도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등 도서관 활용수업의 수범사례가 되고 있다.
지난 10일 화요일 오후 2시.여름 방학 중이라 교정은 한산했지만 100주년 기념관 2층 도서관 열람실에는 60여명의 학생들이 책을 읽고 공부하느라 여념이 없었다.
열람실에서 만난 정일근(18·3년)군은 “영화와 관련된 역사,문화,과학 책을 일주일에 2∼3권 정도 빌려 본다.”며 “책을 읽다보니 다양한 배경지식이 쌓여 언어영역을 푸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것이 편하다는 지용호(18·3년)군은 “‘히딩크스토리’와 같이 성공한 사람들의 자서전을 주로 빌려보는 편”이라며 “그들의 이야기는 어려운 입시공부를 버텨내는 버팀목이 되고 있다.”며 웃었다.
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책과 친해지고 바른 독서습관을 들일 수 있도록 도서관 연계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장래성(63) 교장은 이를 위해 3년 전부터 사서 담당 교사를 두어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을 돕고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보수하는 등의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오산고 도서관은 160평 규모로 2만 5000권의 장서를 보유한 서고와 공부할 수 있는 열람석 150석을 갖추고 있다.올 6월부터는 교실을 개조해 컴퓨터 40대와 시청각 수업이 가능한 시설을 갖춘 디지털도서관도 문을 열었다.
도서관 연계수업은 주로 1,2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된다.한 팀을 6∼7명으로 나누고 팀마다 각자 다른 문제를 준 뒤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한다.
이호승(31) 문학교사는 다양한 작품을 읽어볼 필요가 있을 때 도서관 연계수업을 진행한다.1학년 국어 교과서에 실린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가르칠 때에는 작품에 대한 평론이나 작가 이문열과 관련된 최근 기사를 읽어보도록 과제를 내준다.수업시간 중 직접 책을 찾거나 인터넷으로 검색하는 등 주어진 과제를 마치면 팀별로 조사내용을 발표하게 한다.
이 교사는 “학생들이 처음엔 낯설어 했지만 2∼3번 수업을 진행하면 스스로 문제를 잘 해결한다.”며 “학생들이 혼자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이 수업의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오산고 도서관은 한울타리에 있는 오산중 학생들에게도 문호를 개방했다.오산중 강대경(31) 교사는 수학시간에 도서관 수업을 적극 활용한다.피타고라스의 정리나 유클리드 기하학을 가르쳐야 할 때 주로 도서관에서 수업을 한다.우선 피타고라스와 유클리드의 생에 관한 책을 읽게 하고 같은 수학적 원리를 교과서 외의 책에서는 어떻게 설명했는지를 비교하도록 한다.
강 교사는 “이런 수학 수업은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책과 친숙해질 수 있는 계기를 줄 수 있다.”면서 “효율적인 연계수업의 방법에 대해 항상 고민한다.”고 말했다.
사서담당 정동환(38) 교사는 “교사들이 언제든지 필요하면 도서관 연계수업을 할 수 있도록 교과관련 책을 우선 구입하는 데 애쓰고 있다.”며 “학생들이 쉽게 도서관을 찾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효연기자 bell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