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지역은 그동안 가격이 많이 올랐지만 사업이 마무리되면 추가상승 여지가 충분하다는 분석도 나온다.하지만 단지별로 입지나 사업추진 속도에 차이가 있어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
●돋보이는 왕십리 뉴타운
서울시 뉴타운 사업 가운데 왕십리 뉴차운은… 서울시 뉴타운 사업 가운데 왕십리 뉴차운은 청게천 복원공사 등과 맞물려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정동종합행정타운에서 내려다 본 왕십리 역세권 표정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
하왕십리 뉴타운 지역 인근의 아파트 가격은 청계벽산아파트 45평형의 호가가 4억 8000만원선이다.2002년 10월 뉴타운 지정당시엔 최하 3억원대였다.땅값도 3년전 평당 300만∼400만원이었으나 지금은 평당 1200만∼1500만원선이다.
2차 뉴타운 사업지역으로는 용산구 이태원·한남·보광동 등 12곳이 선정됐다.현재 개발기본계획이 확정된 곳은 교남,신정,노량진,전농·답십리,영등포,방화뉴타운 6곳이다.나머지는 올해말이나 개발기본구상안이 나올 전망이다.아현뉴타운이나,한남뉴타운,가좌뉴타운이 유망지역으로 꼽힌다.
●개발 가능성·시세 살펴야
아직 기본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한남뉴타운은 이태원동·한남·보광동일대 35만여평이 주거중심형으로 개발된다.용산부도심개발과 용산민자역사건설,미군기지이전 등 각종 호재를 끼고 있다.
주거중심형으로 개발되는 가좌뉴타운은 35만 7000평으로 상암지구와 연계발전 가능성이 장점으로 꼽힌다.아현뉴타운은 도심과 가깝고 주변의 재개발이 진행중이다.뉴타운 개발이 완료되면 대표적인 도심형 주거지로 성장할 전망이다.
3차 뉴타운은 15곳이 거론되는데 내년 4월쯤 10여곳이 확정될 전망이다.강북에선 광진구 중곡4동,도봉구 창2·3동 등이,강남에선 송파구 거여·마천동,양천구 신월2·6동,금천구 시흥3동 등이 거론되고 있다.
내집마련정보사 함영진 팀장은 “재건축 개발이익환수 등을 피해 뉴타운지구에 관심을 둔 사람이 많다.”면서 “그러나 투자시에는 개발의 실현 가능성과 시세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곤기자 sunggon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