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신행정수도 건설에 일관되게 반대 입장을 견지해온 이명박 서울시장은 23일 여야 합의 소식을 접한 뒤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 참으로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 시장은 특별한 논평 없이 김병일 대변인을 통해 “안타깝다.”는 말만을 전했다.
이 시장은 최근 각종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수도이전 및 신행정수도 건설은 충청권 주민을 기만하는 처사”라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에 비해 최근 정부의 행정기관 이전에 찬성의 입장을 보였던 손학규 경기지사는 여·야 합의를 환영했다.
손 지사는 “국민통합을 위해 여·야가 이 문제를 전향적으로 합의할 것을 그동안 요구해 왔다.”면서 “정치권의 합의에 다행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 행정기관이 몰려 있는 과천지역에 대한 후속대책도 정부가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면서 “우선 경기도 차원에서 대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이날 긴급 기자회견에서 “여야의 합의 내용이 다소 미흡하지만 신행정수도 건설의 전 단계 조치로서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국회 합의를 존중,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회에서의 합의 정신을 존중하고 앞으로 신행정수도 건설이라는 당초 정책 목표를 유지해 줄 것을 정치권에 간곡히 당부드린다.”며 “또다른 논란이 없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심대평 충남지사와 이원종 충북지사는 이날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염 시장과 마찬가지로 정치권의 합의안에 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충남·북과 대전시 등 3개 시·도지사는 24일 만나 공식적인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
한편 신행정수도 지속추진 연기대책위 관계자는 “국토균형발전이라는 대의 명분은 찾을 수 없고 수도권과 충청권의 눈치를 살펴 정략적으로 결정됐다.”면서 “정권이 바뀌면 12개 부처도 이전될 수 있을지 믿음이 가지 않는다,”며 실행 여부에 의문을 표시했다.
이동구 이천열기자 yidonggu@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