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인자원봉사단 김종민(왼쪽에서 여섯번째)… 선인자원봉사단 김종민(왼쪽에서 여섯번째) 대표가 경기도 안성 칠현산에 오른 뒤 봉사단원 및 시각장애인들과 휴식을 취하고 있다. 서울시각장애인복지관 제공 |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의 등산을 돕는 선인자원봉사단은 어둠 속에 소외돼 있는 이들에게 희미하지만 소중한 희망의 불빛이다. 봉사단 대표 김종민(47·송파구 가락동)씨는 3년째 봉사단의 ‘등대지기’ 역할을 하고 있다.
●3년째 이바지 ‘아름다운 역무원’
김씨는 지하철 2호선 강남역사에 근무하고 있는 서울시지하철공사 소속 공무원이다. 지난 2003년 2월 처음 자원봉사에 발을 들여놨다.
“40대 중반이 되자 ‘이뤄놓은 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늦었지만 다른 사람들을 도우며 제2의 인생을 다시 시작하자는 마음에 송파자원봉사센터를 찾게 됐죠.”
선인자원봉사단은 직장 산악회에서 활동해 왔던 김씨를 중심으로 그해 8월 10여명의 자원봉사자들이 모여 출범했다. 선인자원봉사단은 ‘선한 마음을 지닌 사람들의 모임’이라는 뜻이다.30여명이 회원으로 등록돼 있다.
선인자원봉사단은 매주 목요일마다 10여명의 시각장애인들과 함께 등산을 떠난다. 인천 등 수도권은 물론 대전에서도 매주 올라올 정도로 장애인들에게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경기도 포천 왕방산, 양평 봉미산, 강원도 춘천 봉화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80차례 넘게 산행을 다녀왔다. 지난 2월에는 설악산 등반까지 마쳤다.
시각장애인들은 앞장 선 봉사자의 배낭을 잡고 산을 오른다. 봉사자들은 ‘바위가 있으니 발을 조심하라.’는 식으로 그때그때 지형지물을 설명해 준다.3년째 한 몸처럼 산을 타다 보니 봉사자들과 시각장애인들은 모두 ‘가족’이 됐다. 김씨는 “장애인들이 ‘가족보다 더 가깝다.’는 말을 할 정도”라고 흐뭇해했다.
김씨의 가족은 이미 ‘봉사 가족’이다. 태영(17), 훈영(15) 두 아들도 수업이 없는 방학 때마다 봉사단에 합류한 지 오래다. 매주 넷째주 일요일 아이들과 함께 송파구 거여동의 장애인 시설인 소망의 집에서 봉사 활동을 하는 아내 이순옥(45)씨도 산행 때마다 간식을 챙겨 주는 김씨의 든든한 ‘빽’이다.
●봉사로 하나 된 가족
등산 봉사를 하면서 웃지 못할 일도 많았다. 지난해 8월 경기도 가평의 연인산으로 산행을 갔을 때 김씨는 그만 무릎을 다쳤다. 징검다리를 뛰어 넘다가 뒤따르던 장애인이 함께 뛰지 않고 김씨의 배낭을 잡은 채 서 있는 바람에 김씨는 그만 뒤로 고꾸라졌다. 김씨는 “장애인이 미안해할까봐 아픈데도 아무 말도 못 했다.”고 말했다. 첫 봉사 때 만났던 40대 여성 장애인에게서 시력을 잃고 극복하는 과정을 들으며 함께 눈물을 흘렸던 기억도 그에게 ‘등산 공양’을 계속 할 수 있게 하는 힘이다.
봉사단원들은 주부나 퇴직자들이 대부분이다. 직업을 갖고 있는 단원은 김씨가 유일하다. 평일에 봉사를 한다는 것은 일반 직장인들에게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김씨가 가장 어려움을 겪는 것도 이 부분이다. 주간 근무 때는 봉사를 위해 목요일을 한 주의 유일한 휴일로 잡는다.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하는 야간 근무 때는 아예 잠을 포기하고 복지관으로 달려와야 한다.2년 가까이 그러다 보니 체력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산행 봉사를 포기할 수는 없다. 시각장애인들과 맺은 인연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김씨는 “일반인들이 장애인들과 함께 하는 시간을 늘려가야 ‘장애인=정상이 아닌 사람’이라는 편견이 없어질 수 있다.”면서 “작은 힘이라도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때까지 봉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게 웃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