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처장은 이날 “WAN회의는 언론사 사주들이 모이는 회의로, 정부 예산도 적지 않게 지원됐는데 행사에 참석한 대통령에 대한 의전이 적절치 못한 점이 적지 않았다.”고 비판의 포문을 열었다.
그는 먼저 노 대통령이 참석한 지난달 30일 WAN 총회 개막식 관련 보도를 문제 삼았다. 언론이 노 대통령과 개빈 오렐리 WAN 회장의 연설을 논쟁적 구도로 끌고 갔다는 것이다. 김 처장은 “노 대통령이 연설에서 언론 권력의 남용에 대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강조한 뒤 퇴장했고, 이후 오렐리 회장이 연설했는데 보도만 보면 마치 오렐리 회장이 노 대통령을 (면전에서) 치열하게 비판한 것처럼 돼 있다.”면서 “과연 이런 보도가 적절한 것인지 씁쓸한 일이 아닐 수 없다.”라고 개탄했다. 일부 언론이 노 대통령과 오렐리 회장의 언급을 같은 크기로 나란히 게재하거나 나아가 오렐리 회장의 발언을 더 부각시킨 데 대해서도 “설령 생각이 다르더라도 명색이 국가원수인데 의전뿐 아니라 보도에서도 적절히 예우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김 처장은 신문법에 대한 오렐리 회장과 요한 프리츠 국제언론인협회(IPI) 사무총장의 발언에 대해서도 불쾌감을 감추지 않았다. 잘못된 정보를 기초로 한국 정부를 공격했다는 것이다. 그는 “신문법은 지원대상의 선정조건을 규정한 신문 지원법이지 규제법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