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구의회 정성영(답십리3) 의원은 20일 ‘의회에 바란다’에 ‘해외연수를 다녀와서-7편’을 내보냈다.
이날 글에서 그는 “우리나라는 아시아 경쟁국들의 저가(低價) 생산품 공세에 밀려 경제난의 골이 깊어지는데, 막상 중국에서 보니 한국인 관광객이 물결을 이루어, 결국은 중국 경제발전에 밑거름이 된 듯해 씁쓸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다.”고 털어놨다.
정 의원은 이 글의 마지막에 “상하이(上海)로 가는 비행기를 타려고 공항으로 갔는데 왜 그리도 시끄러운지….”라면서 “곳곳에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사투리가…. 마치 국내 시장통에 온 느낌이었다.”고 덧붙였다.
점심식사 뒤에는 의무 관광코스라고 하는 진주 판매점으로 갔다고 한다.“가짜에 속지 말자.”는 등 관광객들의 말에 충동구매를 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고는 일행과 바깥에서 대화하고 있었는데 가이드의 표정이 왠지 좋지 않은 것 같았다고 소개했다.
황룡동굴을 둘러보면서 최근 엄청나게 달라진 중국인들의 태도에서 많은 것을 깨우쳤다고 그는 되돌아봤다. 중국인들의 상술도 상술이지만, 화장실 문화도 확 바뀌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면 “우리나라를 따지면 재래시장의 경우 심각하게 보였다.”면서 “무엇이 구민들에게 필요한가를 먼저 생각해 보자.”고 동료 구의원들에게 권유했다.
상하이의 ㈜보광철광을 견학하며 기술적 측면에서 아직은 한국의 저력이 대단함을 확인하고는 앞으로 더 발전시켜 세계 최고를 유지하는 동시에 북한도 따라 배워 통일한국의 그날이 앞당겨졌으면 하는 바람도 곁들였다.
구이린(桂林)에 있는 관음동굴의 경우 입구부터가 관광객들을 끌기 위한 노력이 돋보였다고 말했다. 모노레일이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 강원도 삼척의 환선굴을 비교하면 노약자들은 접근하기 힘들게 해놓아 속이 상했단다.
자연상태를 보존하면서도 관람객 편의를 꾀할 수 있는 방법이 얼마든지 있다는 점에서 반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무조건 해외연수를 나쁜 의도로 몰아붙이는 일부 시각을 바로잡아 불필요한 소모전을 없애기 위한 고육책이자, 시민들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일종의 의무감 때문에 일지를 올리게 됐다.”고 말했다.
송한수기자 onekor@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