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연구소 김용정 대표는 ‘다산포럼’에 실은 글을 통해 “이번 제주도 골프는 대다수 국민들에게 무분별하고 무책임하고 오만방자하기까지 한 행태로 비춰진다.”면서 “정말로 국민을 무서워하고 임명권자인 대통령을 어려워했다면 재해 비상상황에서의 골프는 자제했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고 전 총리가 전남지사로 있던 시절의 일화를 들었다. 휴일을 맞아 오래 전에 약속한 지역 기관장 등과의 골프회동을 위해 비좁은 시골길을 달리다 양수기를 싣고 가던 농민과 택시기사의 실랑이를 목격했고, 그 순간 고씨는 ‘내가 지금 무슨 짓을 하고 있나.’ 싶어 티업만 지켜본 뒤 도청으로 되돌아와 ‘가뭄 비상령’을 내리고 20여일간 철야근무를 했다는 것이다.
고 전 총리가 그 뒤 골프를 끊었다는 얘기도 덧붙였다.
김 대표는 “목민관의 자세는 모름지기 그와 같아야 하지 않느냐.”면서 “자타가 인정하는 실세 총리로서 대통령 지지율이 20%대로까지 떨어진 마당에 이 총리는 근신하는 자세로 국정과 민생과제를 보다 꼼꼼히 챙겨야 할 것”이라고 일침을 놓았다.
이에 대해 이 총리의 측근은 “총리는 라운딩조차 주요정책을 협의하는 기회로 삼을 정도의 일 중독자로, 비상연락 체계가 갖춰져 있어 돌발사태가 발생하더라도 대책을 지시할 수 있던 상황”이라며 “다만 총리로서 국민들의 정서까지 아울러야 한다는 점에서 비난여론이 곤혹스러운 건 사실”이라고 토로했다.
진경호기자 jade@seoul.co.kr
2005-7-6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