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은 홈페이지를 통해 13일까지 변리사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불만족 사항을 파악하려는 목적에서다. 시험주관기관에서 이처럼 수험생의 불만사항을 조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특허청은 올해를 시작으로 이 같은 조사를 연례화한다는 방침이다. 특허청 산업재산보호과 관계자는 “변리사시험 시스템에 대한 수험생들의 만족도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위해 처음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게 됐다.”면서 “설문조사 결과는 앞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설문조사 결과, 원서접수 기간이 너무 짧다든지, 발표까지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다든지 등의 불만이 높을 경우 이를 반영해 제도를 손질하겠다는 것이다. 특허청은 또 앞으로는 1차 또는 2차 필기시험 응시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해 1년간 시험일정에서 문제점은 없는지 등을 점검할 계획이다.
국가공무원 채용시험을 주관하는 중앙인사위에서도 설문조사를 통해 수험생들의 체감도를 파악하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는 시험관련 행정제도를 개선하는 데 활용되고, 시험전형의 변화를 시도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 형식적인 절차에 불과했던 면접시험이 당락을 결정할 정도로 강화된 것 역시 수험생들의 의견을 반영한 결과다. 지난해 말 9급공채 면접시험에서 사례형 질문을 처음으로 도입했던 인사위는 응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여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하고 면접시험에서 새로운 면접기법들을 도입했다. 또 5급공채 면접에 도입한 개인프레젠테이션이 응시자들에게 가장 변별력이 높다는 호응을 얻자 이를 7급시험에까지 확대하고, 면접시험시간도 늘렸다.
중앙인사위 관계자는 “수험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는 행정제도 개선과 고객만족차원에서 실시하고 있다.”면서 “시행초기이기 때문에 자료가 충분히 수집된 단계는 아니지만 앞으로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법무부 역시 사법시험의 일정을 앞당겨 실시하고, 석차를 공개하는 등 수험생들의 불만사항을 반영해 제도를 개선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강혜승기자 1fineday@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