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소외계층을 돌보는데 얼마나 지속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느냐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4년이란 짧지 않은 세월 동안 어려운 이웃의 손발이 되어 소외계층·장애인들을 돕는 서울 관악구(구청장 김희철) 환경미화원들은 그야말로 이 시대의 ‘빛과 소금’이다.
●고된 일상 짬내 4년간 자원봉사
환경미화원들의 하루 일과는 ‘고단하다.’는 말 그 자체다. 남들이 잠들어 있는 이른 새벽에 시작된 하루 일과는 점심 때나 되어서야 겨우 끝난다. 그나마도 쌓인 잔무를 처리하다 보면 오후 늦게서야 퇴근할 수 있다.
관악구 환경미화원들은 힘든 하루 일과에도 불구하고 4년 동안 지역의 소외계층 및 장애인을 돕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을 한결같이 하고 있다.
이들은 매달 한번씩 치매 노인들을 위한 요양시설인 신림 10동 소재 ‘사도의 집’과 장애인 거주시설인 신림 3동 소재 ‘주사랑 공동체’를 방문한다. 시설에 있는 어르신들이나 장애인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며 외로움을 달래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식사대접, 청소, 나들이 등 봉사 활동이라면 어떠한 일도 마다하지 않는다.
●성금 내고, 주운 동전 모아 불우이웃 돕고
지난 추석 때는 본인들 스스로 여유로운 살림살이가 아니지만 성금을 모아 불우한 이웃들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십시일반으로 모은 210만원을 소년소녀가장 학생들과 장애인 거주시설, 장애인 가족에게 나눠 줬다.
어떤 성금보다 귀중하고 따뜻한 마음이 느껴져 구청 내에서도 내내 화제가 됐다.
한편 이들은 이색적인 이웃돕기 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환경미화 작업 중 주운 동전을 모으는 ‘주운 동전 모으기 운동’.
환경미화원 정진근 씨는 “동전이라 액수야 많진 않지만 그래도 모으면 생각보다 적지 않은 돈이 모인다.”면서 “주울 당시에는 큰 돈도 아니고 누구의 돈인지도 확인할 수 없으니 ‘이웃돕기’라는 뜻에서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공감대를 모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9월부터 시작해 지금까지 모은 동전은 약 62만원. 이렇게 모은 동전을 조만간 소년소녀가장이나 복지시설 등에 전달할 계획이다.
●관악산 환경 보호에도 앞장
이들은 관악산 환경 수호에도 앞장서고 있다. 근무를 하지 않는 주말이나 휴일에는 틈틈이 관악산 구석구석을 뒤져가며 자연정화 활동을 한다.
일주일 내내 청소 업무로 피곤했을 텐데 이들은 마치 ‘집안청소’를 하듯 즐거운 마음이란다. 지난 봄에는 무려 5t이 넘는 쓰레기를 주워 주위를 놀라게 했다.
이렇게 자기 할일에도 최선을 다하고 이웃사랑 실천에도 누구보다 열심인 환경미화원을 볼 때면 공복(公僕)의 소임이 어떠한 것인지 새롭게 깨닫게 된다. 앞으로 이들의 아름다운 선행이 어떻게 전개될지 기대해 본다.
임종배 공보주임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