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대우차 강제퇴직자 복직추진위’에 따르면 2000년 6월 대우차가 1차 부도 후 워크아웃에 들어가면서 구조조정이 논란이 되자 “명퇴하지 않으면 해고돼 타 회사 취업이 어렵다. 회사가 정상화되면 우선 복직시키겠다.”는 회사 간부들의 약속을 믿고 같은 해 10월부터 다음해 1월까지 1250명의 생산직 근로자들이 회사 측이 미리 만든 사표 양식에 사인을 했다.
또 이 과정에서 작업반별로 직원들에 대한 회유와 강요가 있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명퇴에 따른 반대급부는커녕 퇴직금조차 제대로 받지 못해 명퇴가 아닌 권고사직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우차 정상화 뒤 2001년 2월 정리해고된 1700여명은 대부분 복직됐지만 정작 이들에 대한 복직은 아직까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추진위 김내성(55) 위원장은 “노조는 자신들과 함께 행동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권고사직자들의 복직에 신경을 쓰지 않고, 회사측은 명퇴했다는 이유로 외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우차 관계자는 “추진위에 소속된 사람들을 희망퇴직자로 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복직 계획은 현재로서는 없다.”고 밝혔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