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혼정보업체가 호황이라지만 장애인 남녀의 결혼상담을 무료로 해주는 곳은 드문 터라 전국에서 상담이 쏟아진다. 남성 회원만 800명이 넘는다.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여성 회원들
“대부분 40대 이상입니다. 나이 든 부모가 찾아와 아들이 가정을 갖는 모습을 보는 게 소원이라며 눈물을 흘리기도 합니다.”
일흔이 넘은 한 할아버지는 하반신이 마비된 몸이지만, 할머니를 만나 여생을 보내고 싶다고 등록했다. 할아버지는 신혼집을 차리려고 평생 3000만원을 모았다.
그러나 여성을 찾기란 하늘에 별따기다. 등록 회원이 30명에 불과한 데다 그들도 그리 적극적이지 않단다.
염 소장은 “우리나라에서 결혼이란 여성에게 훨씬 많은 희생을 요구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불편한 몸을 이끌고 남편을 돕고 가사 일까지 도맡는 걸 두려워한단다. 중매로 만난 남성과 사랑의 감정을 키울 수 있을지도 걱정이다.
●‘국제 커플´ 최근 들어 증가 추세
최근에 남성 장애인들은 베트남이나 필리핀으로 고개를 돌리고 있다.
“필리핀에서 만난 한 여성이 장애인과 결혼하고 싶다고 해서 소아마비를 앓던 청년을 소개했습니다. 이메일을 오랫동안 주고받더니 결혼하더군요.”
장애인이나 외국인이란 겉모습을 뛰어넘어 만남이 이뤄진 셈이다. 염 소장의 노력으로 10여쌍이 가정을 이뤘다.
결혼이 성사되면 염 소장은 ‘웨딩플래너’로 변신한다. 결혼식장을 예약하고 신부화장과 웨딩드레스도 맞춘다. 장애인들이 대부분 생계가 어려운 터라 도움이 절실하다. 미용기술이 탁월한 그의 친구 김정원씨가 힘을 보탠다.
염 소장이 장애인과 인연을 맺은 것도 김씨 덕분이다. 미용실을 운영하던 김씨는 1970년대부터 복지원을 찾아다니며 노인과 장애인들의 머리를 예쁘게 손질해 줬다. 친구를 돕는다고 무거운 미용 도구를 날라주던 염 소장도 자연스럽게 자원봉사에 빠져들었다.
“누군가에게 행복을 준다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었습니다.”
●주말엔 목사로 선교 활동
1969년부터 검찰 직원으로 활동하던 그는 97년 명예 퇴직을 하자마자 심리상담과 가정폭력, 사회복지를 두루 공부했다. 그리고 2002년 평택 신학전문대를 졸업, 목사의 길에 들어섰다.‘제2의 인생’을 시작한 것이다.
염 소장은 그해 중구 장애인상담센터 소장을 제의받았다. 장애인과 하루종일 몸을 부대끼는 일이었다. 결혼, 직업, 교육 등 다양한 얘기를 나누고,80여명에게 매일 점심을 챙겨주며 체력단련실, 샤워실, 휴게실 등 장애인 편의시설도 관리해야 한다.
“망설였지요. 쉬운 일이 아닌 데다 잘할 수 있을지 겁이 나더군요.”
●비장애인과 똑같은 인격체로 바라봐야
남편이 ‘어려운 사람을 섬기겠다.’던 약속을 실천한 기회라며 응원해줘 힘을 얻었다. 염 소장은 주중에는 중구 상담센터 소장으로, 주말에는 송파구 문정동 한샘교회에서 선교 목사로 활동하고 있다.
염 소장은 “장애인은 불편한 몸이 아니라 사회적 편견 탓에 고통받는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가족들이 찾아와 결혼 상담을 하며 ‘장애인이라도 찾아달라.’‘청각장애인이면 좋겠다.’고 말하면 버럭 화를 냅니다. 왜 장애인에게 ‘라도’라는 말이 붙어야 합니까. 장애인을 비장애인과 똑같은 인격체로 바라보는 것이 복지사회로 향하는 첫걸음입니다.”
정은주기자 eju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